대도시 중심으로 하수도 시설의 노후화가 심각해 순차적 정비 또는 대체 시설 설치 등 계획적인 대안 마련 검토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서울 양천구 하수도 준설공사 작업팀이 하수시설물에 퇴적된 준설토 제거 작업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DB]
대도시 중심으로 하수도 시설의 노후화가 심각해 순차적 정비 또는 대체 시설 설치 등 계획적인 대안 마련 검토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서울 양천구 하수도 준설공사 작업팀이 하수시설물에 퇴적된 준설토 제거 작업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DB]

[뉴시안= 이태영 기자]대도시 중심으로 하수도 시설의 노후화가 심각해 순차적 정비 또는 대체 시설 설치 등 계획적인 대안 마련 검토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우리나라 하수관로는 16만 3098.9km에 이르고 있으며, 그중 40.2%가 매설된 후 25년 이상됐다.

16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내놓은 ‘건설동향브리핑(제927호)’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하수도시설은 꾸준히 보급돼 2021년 기준 하수도보급률은 94.8%에 달하고 있으며 처리시설은 4339개소, 하수처리용량은 2679만9000톤이다.

하수도보급률은 2012년 91.6%에서 2021년 94.8%로 상승했으며, 처리시설은 2012년 3613개소에서 2021년 4339개소로 증가했다. 하수처리용량도 2012년 2529만7000톤에서 2021년 2679만9000톤으로 증가했다.

보고서는 2020년 기준 공공하수처리시설은 4281개소로, 준공 후 30년 이상 된 노후 하수처리시설은 47개소이며, 대부분이 경기도에 집중돼 있다는 점을 짚었다.

[도표=한국건설산업연구원]
[도표=한국건설산업연구원]

30년 이상 된 후 하수처리시설 중 대부분이 500톤 이상을 방류하는 대형 하수처리시설이다. 특히 서울은 4개의 하수처리시설 모두 30년 이상 노후화됐으며, 500톤 이상을 방류하는 대형 하수처리시설이라는 것.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은 하수관로의 50% 이상이 매설된 후 25년이 경과됐다. 특히 대구는 25년 경과 비중이 70.1%로 17개 지역 중 최고 수준을 보이고 있다.

보고서는 “공공하수처리시설의 노후화 비중이 높지는 않으나, 인구가 많아 사용량이 많은 서울과 경기 일부 지역에 집중되어 있어 이들 시설에 대한 관리 및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상수관로의 경우 경년관 비율이 19.9%이나, 하수관로는 매설 이후 25년 이상 된 비율이 40.2%로 상수관로에 비해 더욱 더 심각한 상황이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엄근용 연구위원은 “싱크홀은 상수관로에서만 발생되는 것이 아니라 하수관로의 누수에 의해서도 일어나는 만큼 노후화된 하수관로의 경우 빠른 교체를 통한 토양오염 및 시민 안전 도모가 필요하다”며 “특히, 대구(70.1%), 부산(69.1%), 서울(65.4%), 대전(66.6%) 등의 대도시에서 비중이 높아 조속한 대응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