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가 9월 집계된 '무선 가입자 수 통계'에서 LG유플러스에게 뒤쳐진 데에 대해 적극 해명에 나섰다. [사진=뉴시스]
KT가 9월 집계된 '무선 가입자 수 통계'에서 LG유플러스에게 뒤쳐진 데에 대해 적극 해명에 나섰다. [사진=뉴시스]

[뉴시안= 조현선 기자]KT가 9월 집계된 '무선 가입자 수 통계'에서 LG유플러스에 뒤쳐진 데에 대해 적극 해명에 나섰다. 무선 가입자 수 통계는 사람이 개통한 모바일 수(이동전화가입자)와 다르며, 모바일은 여전히 KT가 우위라는 설명이다.  

9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발표한 무선통신서비스 가입 현황에 따르면 9월 LG유플러스의 무선 가입자수 회선 수는 총 1829만2170개로 KT(1773만5022개) 대비 55만7148개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 5월까지만 해도 양사의 격차는 100만개가 넘었지만 6월(84만개)에서 7~8월을 거치며 76만개 수준으로 좁히다 LG유플러스의 역전까지 이어졌다. 타 회선을 제외할 경우 격차는 더욱 커진다. LG유플러스가 1801만6932개로 KT(1713만3388개)를 앞서고 있다. 기타 회선은 통신사 설비 관리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기기로 회선 수 산정에서 제외된다.

KT는 이날 오전 긴급 온라인 브리핑을 열고 해명에 나섰다. 골자는 "사물과 사람을 구분해야 하며, 사람이 개통하는 무선 휴대폰(이동전화) 가입자 수는 여전히 KT가 우위에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이는 사물인터넷(IoT) 회선 등을 모두 합친 결과다. 

정부는 무선 가입자 통계에 휴대폰과 웨어러블 기기, IoT 회선 등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LG유플러스는 올해 한국전력공사로부터 원격관제 가입 회선 200만 건에 대한 계약을 수주한 것으로 알려졌다. 원격관제 회선은 수도나 가스 검침 업무를 수행하는 검침기에 들어가는 IoT 센서에 통신망을 부착한 서비스다. LG유플러스의 경우 지난 9월에만 134만5066개의 원격관제 회선이 추가됐다. 

반면 모바일 회선 기준으로는 KT가 1359만1181개로 LG유플러스(1101만913개)를 앞선다. 태블릿PC·웨어러블 등 가입자 기반의 단말을 더해도 KT가 1495만8137개로 LG유플러스(1201만7709개)를 여전히 앞지르고 있다.

김영걸 KT 커스터머 부문 상품기획담당 상무는 "과기정통부의 통계는 사람이 쓰는 회선과 사물이 쓰는 회선을 통합해 보여주다 보니 해석과 판단에 혼선을 초래했다"며 "휴대폰 시장점유율 기준으로는 여전히 250만여명 정도 KT가 많다"고 밝혔다. 

이어 "각사의 방침에 따라 마련된 지표라 회사별 ARPU(가입자당평균매출)의 절대적 비교는 어렵지만 유저(가입자) 평균 매출을 따지는 만큼 사람을 기준으로 하는 게 맞다고 본다"고 주장했다. 

이동통신사 가입자 구성비 역시 각사의 해석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이다. 통상 이동통신사의 이동통신(MNO) 회선은 크게 사람과 사물 회선으로 구분된다. '사람' 회선은 고객과 통신사 내부용 단말기, 태블릿PC·웨어러블 기기와 에그 등이 포함된다. '사물' 회선은 차량관제·원격관제·무선결제 등에 장착하는 사물지능통신 등으로 구성된다.

그러면서 KT는 원격관제 부문의 비용 효율성이 크지 않아 집중하지 않았다고도 덧붙였다. 김 상무는 "휴대폰 가입 회선은 월평균 3만원대 매출이 나오는 반면 IoT 회선은 수백원에서 수천원"이라고 말했다. 회선당 월 600원 수준의 가스 검침 회선 1개와 휴대폰 고객 1명을 동일 선상에 두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실제로 원격 관제 부문에서 LG유플러스는 513만 회선을 보유한 반면 KT는 161만 회선에 그친다. 

이어 KT는 과기정통부의 통계 기준을 재점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철호 KT 사업협력담당 상무는 "IoT 회선은 고객 특성상 일반 국민이 사용하는 이동통신 서비스와 다른 시장이며 회계 기준에도 분리돼 있다"며 "정부에 통계 분류체계 개편에 대한 의견을 적극 개진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LG유플러스도 이에 정면으로 반박하고 나섰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통계의 기준은 통상 정부와 사업자가 시장환경이나 기술 환경에 따른 협의를 통해 변동된다. 그러나 지난달까지는 잘 따르다가 순위가 바뀌고나서야 잘못됐다고 지적한다"고 말했다. 

또 무리하게 IoT 회선 수를 확대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통상 B2B 고객의 경우 다년 계약이 많은 만큼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안정적인 현금 흐름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며 "특정 기업 역시 관련 사업을 전혀 안 하는 것도 아니고, 타사 대비 적게 수주했을 뿐인데 IoT 사업은 '저가'라는 것도 납득이 가지 않는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