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원회는 23일 김소영 부위원장 주재로 금융감독원, 산업은행, 신용보증기금, 시장 전문가들과 함께 금융시장 현안 점검·소통회의를 개최했다. [사진=금융위원회]

[뉴시안= 이태영 기자]올해 종료되는 금융규제 유연화 조치가 내년 상반기까지 연장된다. 또한 지난해부터 가동 중인 시장안정 프로그램도 운영기간을 1년씩 연장해 채권시장안정펀드와 회사채·CP 매입 프로그램은 내년 12월말까지, 증권사 PF-ABCP 매입 프로그램은 오는 2025년 2월까지 연장된다.

금융위원회는 김소영 부위원장 주재로 금융감독원, 산업은행, 신용보증기금, 시장 전문가들과 함께 금융시장 현안 점검·소통회의를 개최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날 회의에서는 채권·단기자금시장 상황을 점검하고 지난해부터 가동 중인 시장 안정 조치들과 금융규제 유연화 조치들의 운영 현황 및 향후 계획을 논의했다.

참석자들은 미국의 금리인상 사이클 종료 가능성이 높아지고 채권 금리 상승세가 둔화되는 것은 시장 안정차원에서 다행스러운 일이라고 평가하면서도 여전히 불확실성이 많이 남아있는 상황인 만큼 12월 FOMC 등 앞으로의 상황을 주시하며 긴장감을 가지고 대응할 필요가 있다는데 인식을 같이했다.

다만 전반적인 금리 수준이 높아지면서 기업의 비용 부담이 증가하고 있고 신용 위험에 대한 시장 참여자들의 경계감이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면서 우량물과 비우량물 간 스프레드가 확대됐으며 취약 업종의 경우 시장 접근성이 저하되는 등 하반기 들어서는 기업 자금조달 측면에서 쉽지 않은 시장 여건이 지속됐다고 분석했다.

또한 최근 통화정책 전환과 금리 인하 기대감이 높아지고는 있으나 내년에도 고금리가 상당기간 지속될 수 있는 만큼 시장 안정에 중점을 두는 정책기조를 유지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김소영 부위원장은 “미국과 유럽의 인플레이션이 둔화되는 등 통화정책 기조 전환의 여건은 갖추어져 가고 있으나 각국 중앙은행들이 상당기간 긴축 기조를 유지할 가능성도 높은 상황”이라며 “통화정책 기조가 전환되더라도 금리 인하의 시기와 속도에 상당한 불확실성이 있는 만큼 금리 인하에 대한 과도한 기대는 위험할 수 있다”라고 평가했다.

[도표=금융위원회]

이어 “내년에는 수출 회복 등으로 경기회복세가 강화되면서 성장, 물가 등 거시경제 여건은 개선될 것으로 전망되나 고금리가 상당기간 지속되면서 각 경제주체들에게 고금리에 견딜 수 있는 체력을 요구하는 한 해가 될 수 있다”며 “가계와 기업이 고금리에 대비한 충분한 체력을 비축해야 한다”라고 당부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지난해부터 가동 중인 시장안정 프로그램들의 운영 상황도 점검했다. 올해 금융시장이 안정되면서 시장 안정 프로그램의 활용 수요는 지난해에 현저히 줄어들었으나 내년에도 여전히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 지속될 수 있는 점을 감안해 현재 운영 중인 프로그램들 가운데 곧 운영기간이 종료되는 프로그램들에 대해서는 운영기간을 1년씩 연장하기로 했다.

채권시장안정펀드와 회사채·CP 매입 프로그램은 내년 12월말까지 연장 운영되며 증권사 PF-ABCP 매입 프로그램은 오는 2025년 2월말까지 연장 운영된다. 내년 말까지 운영 예정인 시장안정 P-CBO 프로그램도 내년 중 차질 없이 가동할 예정이다.

올해 말에 조치 기간이 종료되는 금융규제 유연화 조치의 연장 여부도 논의했다. 현재 금융권의 유동성·건전성 수준 등을 감안하면 규제 유연화 조치가 종료되더라도 규제 비율 준수가 가능한 상황으로 판단되나 시장 상황이 급변할 가능성에 대비해 내년 6월까지 규제 유연화 조치를 연장하기로 했다. 금융규제 유연화 조치들에 대해서는 내년 2분기 중 금융시장 여건과 각 금융업권별 건전성·유동성 상황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추가 연장 또는 정상화 여부를 판단할 계획이다.

연장에 따라 은행의 LCR규제 규제비율은 100%에서 95%로 완화되고 저축은행의 예대율 규제비율은 100%에서 110%로 완화된다. 여전사의 원화 유동성 비율규제도 100%에서 90%로 완화되고 여신성 자산 대비 PF익스포져 비율은 30%에서 40%로 완화된다.

김소영 부위원장은 “저금리, 유동성 과잉공급 시기에 누적된 금융 리스크가 충분히 해소되기까지는 어느 정도 시간이 걸리는 것이 불가피하다”며 “향후에도 시장 안정기조가 확고히 자리 잡을 때까지 상당기간 동안 강화된 모니터링과 집중적인 시장안정 대응 체계를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