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0명 중 8명(83.9%)이 대중교통 요금 인상은 서민들에게 큰 부담이라고 응답한 가운데, 최근 서울시 대중교통 요금 인상에 대한 체감도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사진=뉴시스]
국민 10명 중 8명(83.9%)이 대중교통 요금 인상은 서민들에게 큰 부담이라고 응답한 가운데, 최근 서울시 대중교통 요금 인상에 대한 체감도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사진=뉴시스]

[뉴시안= 이태영 기자]대중교통 요금 인상에 따른 생활비 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가운데, 교통비 절약 방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국민 10명 중 8명(83.9%)이 대중교통 요금 인상은 서민들에게 큰 부담이라고 응답한 가운데, 최근 서울시 대중교통 요금 인상에 대한 체감도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10일 시장조사전문기업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가 최근 3개월 기준 대중교통 이용 경험이 있는 만 19~69세 서울/인천/경기 거주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교통비 부담도 및 교통비 지원 정책 관련 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 최근 정부, 지자체에서 추진 중인 교통비 지원 정책의 필요성에 공감하면서도 정책 효과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 역시 적지 않은 모습을 보였다.

우선, 전체 응답자 중 평소 출퇴근(등하교) 시 주 이동 수단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비율(86.8%, 중복응답)이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난 만큼, 교통비 인상이 일상생활 전반에 즉각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픽=트렌드모니터]
[그래픽=트렌드모니터]

교통비에 부담을 느끼는 소비자들도 69.6%에 달했다. 특히 20대 저연령층과 서울-인천/경기 통근(통학)자를 중심으로 교통비 부담을 느끼는 경우가 많았다.

트렌드모니터는 “1회에 100원 단위의 인상이지만 한 달로 보면 교통비 부담이 크게 느껴지는(75.7%, 동의율)만큼, 한 달 치 교통비 지출 내역으로 대중교통 요금 인상을 체감(78.7%)하는 모습이다”고 분석했다. 전반적인 생활비 부담을 느끼는 경우가 82.7%로 압도적으로 높게 평가됐다.

또한 현재 인상된 서울시 대중교통 요금은 대체로 비싸다는 인식이 강했다. 주로 ‘광역버스(비싼 편 70.5%)’와 ‘간선·지선 버스(비싼 편 46.5%)’ 요금 수준을 높게 평가했으며 ‘지하철’ 요금은 아직까지 적정 수준(50.1%)이라는 응답이 두드러졌다.

대중교통 요금 상승으로 생활비에 대한 부담감이 커지면서 요금을 절감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관심(74.3%, 동의율) 또한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응답자 10명 중 9명(86.0%)이 교통비를 최대한 아끼고 싶은 마음이 있다고 밝힌 가운데, 교통비를 줄일 수만 있다면 다양한 방법을 시도해 보고 싶다는 응답이 79.0%에 달했다.

[그래픽=트렌드모니터]
[그래픽=트렌드모니터]

실제로 전체 응답자의 64.4%는 교통비 절약 방법을 직접 실천하고 있는 모습까지 보였다. 대체로 평소 교통비를 아끼기 위해 도보 30분 이내 거리는 최대한 걷거나(67.6%, 중복응답), 환승 할인(61.7%)을 실천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교통비 할인 카드(40.4%)나 리워드 혜택(34.2%)을 활용한다는 응답이 뒤를 이었다. 다만 전체 응답자의 대다수가 대중교통은 거의 매일같이 타야 하다 보니 비용을 줄이기가 어렵고(89.0%, 동의율), 줄이려 해도 줄이기 어려운 비용(83.8%)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전체 응답자 10명 중 9명(91.0%)이 대중교통 요금은 앞으로 계속 인상될 것 같다고 전망한 가운데, 요금 인상 대신 거리 비례 요금제를 강화하거나(60.0%, 동의율)노인 무임승차 혜택을 줄이는(59.8%) 등 현실적인 정책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많았다.

한편, 최근 정부와 지자체에서 추진 중인 ‘교통비 지원 정책’에 대해선 어느 정도 대중적인 관심과 지지가 뒷받침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응답자 10명 중 9명(85.2%)은 향후 교통비 지원 정책을 최대한 활용하고 싶다는 의향을 보였다. 주요 정책인 ‘K-패스’와 ‘기후동행카드’ 중에서는 기존 알뜰교통카드의 업그레이드 버전인 ‘K-패스’에 대한 호감도가 좀 더 높은 편(K-패스 58.2%, 기후동행카드 28.3%)으로 나타났다. 대체로 전 지역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정책 출시에 대한 니즈가 높고(90.4%, 동의율) 교통수단이 확대될 필요가 있다는 응답 또한 85.6%에 달한 결과를 보였다.

저작권자 © 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