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내놓은 ‘2023년 농업·농촌 국민의식 조사’ 결과에 따르면, 도시민 10명 중 8명은 향후 국가 경제에서 농업의 위상이 더 중요해질 것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사진=뉴시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내놓은 ‘2023년 농업·농촌 국민의식 조사’ 결과에 따르면, 도시민 10명 중 8명은 향후 국가 경제에서 농업의 위상이 더 중요해질 것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사진=뉴시안]

[뉴시안= 이태영 기자]도시민 10명 중 8명은 향후 국가 경제에서 농업의 위상이 더 중요해질 것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귀농·귀촌의 우선적인 이유로 영농활동보다 자연 친화적인 생활환경에 대한 선호를 꼽았으며, 농촌 소멸, 농업인력 부족 해소에 이민정책이 필요하다고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내놓은 ‘2023년 농업·농촌 국민의식 조사’ 결과에 따르면, 농업인 78.1%, 도시민 80.5%가 앞으로 농업이 국가 경제에서 중요하다고 응답했다.

특히 도시민 절반 이상이 농업·농촌의 공익적 기능의 가치 인정, 특히 ‘식량(농식품)의 안정적 공급’을 가장 중요하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민 58.7%는 농업·농촌의 공익적 기능이 갖는 가치를 높게 평가했으며, 가장 중요한 농업·농촌의 공익적 기능으로 ‘식량(농식품)의 안정적 공급’, ‘환경 및 생태계 보전 기여’, ‘국토 균형발전 기여’ 등을 꼽았다.

[그래픽=한국농촌경제연구원]
[그래픽=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여전히 절반 이상의 도시민이 농업·농촌의 공익적 기능 유지 및 보전을 위한 추가 세금부담 필요성에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입법 여부가 주목된다. 도시민 중 농업·농촌의 공익적 기능을 유지 및 보전하기 위한 추가 세금 부담에 찬성하는 비율은 62.4%, 농촌복지 관련 예산 증액에 찬성하는 비율은 48.9%로 조사돼, 5년 전보다 농업·농촌 지원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향상되고 있음을 반증했다.

은퇴 후 귀농·귀촌을 희망하는 도시민의 응답 비율은 37.2%로 전년과 동일한 수준을 보였다.

도시민이 귀농·귀촌을 희망하는 가장 큰 이유는 ‘자연 속에서 건강하게 생활하기 위해’(41.0%)였으며, 다음으로 ‘시간에 얽매이지 않는 자유로운 생활을 하고 싶어서’(16.5%)라는 이유가 꼽혔다. 다만, 두 응답 비율 모두 과거와 비교해 가장 낮은 수준이다.

반면 ‘농산물을 생산해 안전한 식품을 자급하기 위해’(12.0%), ‘마을의 공동체적인 생활을 하고 싶어서’(10.6%), ‘인정이 많은 곳에서 생활하고 싶어서’(9.7%), ‘농촌에 살면서 농사를 짓고 싶어서’와 ‘땅값이 도시보다 싸므로 넓은 주택을 가질 수 있어서’(각각 4.8%)라는 이유는 이전 조사 결과 대비 모두 증가했다. 특히, ‘마을의 공동체적인 생활을 하고 싶어서’라는 이유는 2022년 4.3% 보다 6.3%p 증가했다.

[그래픽=한국농촌경제연구원]
[그래픽=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인의 직업 만족도는 하락한 반면 생활 전반에 대한 만족도는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으로서 농업인에 만족한다는 응답 비율은 전년 대비 7%p 감소한 18.3%에 머물렀다. 불만족(27.7%)의 가장 큰 이유는 전년과 마찬가지로 ‘노력에 비해 낮은 보수’(54.6%)를 꼽았다.

농업경영의 가장 큰 위험 요소는 ‘농업 생산비 증가’(21.1%), ‘일손 부족’(15.9%), ‘기후변화에 따른 기상이변과 재배 여건 변화’(13.3%) 등의 순으로 전년과 동일하게 나타났다.

농업인의 생활 만족도는 26.3%(전년 대비 3.2%p 상승)로, 만족도가 높은 생활 분야는 ‘주거 환경’(34.7%), ‘이웃과의 관계’ (34.7%) 등으로 나타났다. 만족도가 높은 분야는 ‘쓰레기 및 환경 관리’ 분야(21.1%), ‘보건의료’(20.8%), ‘문화·체육·여가’(19.4%), ‘대중교통’(19.6%), ‘교육환경’(15.3%) 등의 순으로 ‘문화·체육·여가’(2022년 16.8% → 2023년 19.4%)를 제외한 모든 분야에서 전년 대비 만족도가 감소했다. 이는 농촌 쇠퇴와 지역소멸 위기가 대두되는 상황에서, 농촌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실효성 있는 수단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풀이된다.

[그래픽=한국농촌경제연구원]
[그래픽=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식품 주요 이슈로 도시민과 농업인 모두 전년도와 동일하게 ‘자연재해’를 가장 많이 꼽았다. 도시민과 농업인 모두 관심이 많았던 농식품 분야 주요 이슈는 ‘자연재해’, ‘기후변화’, ‘농산물 가격 안정’ 등으로 나타났다.

도시민과 농업인 모두 우리나라 농촌에서 해결이 가장 시급한 문제로 ‘인구감소와 고령화’(도시민 74.3%, 농업인 94.5%), ‘열악한 보건의료·복지 여건’(도시민 38.1%, 농업인 41.6%) 등을 꼽았다. 

도시민과 농업인 모두 ‘관계 인구’ 창출 및 확대를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농촌 생활 여건 개선(도시민 20.1%, 농업인 22.9%)’이라고 응답했다. ‘농촌 체험공간 조성(빈집, 유휴시설 등 활용)’(농업인 18.4%, 도시민 17.4%), ‘농촌에 대한 정보 제공 및 홍보 강화’(농업인 15.8%, 도시민 16.7%), ‘농촌의 일자리 확대’ (농업인 14.1%, 도시민 13.1%) 등 순이다. 그 외, 농업인은 ‘농촌의 자연환경 및 경관 개선’(5.4%)을, 도시민은 ‘다양한 관광 프로그램 개발’ (10.9%), ‘농촌의 불편한 대중교통 개선’(8.4%) 등으로 답했다. 농촌 소멸 대응을 위한 관계 인구 창출 역시 농촌의 생활 여건 개선 없이는 이뤄지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관련 지원이 시급한 것으로 풀이된다.

[그래픽=한국농촌경제연구원]
[그래픽=한국농촌경제연구원]

특히 국민 절반은 농촌 소멸, 농업인력 부족 등의 해소를 위해 이민정책이 ‘필요하다’고 인식해 눈길을 끌었다. 최근 농촌 인구 고령화 및 과소화, 농업인력 부족 등의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외국인이 기간 제한 없이 국내에 거주·영주할 수 있도록 하는 이민정책이 ‘필요하다’(‘매우 필요하다’와 ‘필요한 편이다’)는 응답은 농업인의 58.5%, 도시민의 57.3%로 나타났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김수린 연구위원은 “농업인이 꼽은 가장 큰 이유가 ‘기간 제한 없는 거주·영주의 불필요’에 이어 ‘외국인 밀집 지역 우려’ 등으로 나타난 만큼 농업 현장의 요구에 기초한 신중한 접근이 요구된다”고 짚었다.

이어 “농업인 대부분 최근 몇 년간 기후변화가 영농활동에 영향을 미쳤다고 응답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향후 투자계획이 있는 비율은 절반에 미치지 못한 수준이다”며 “개별 농가의 기후변화 적응을 돕고 관련 영농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적극적인 지원이 절실하다”고 덧붙엿다.

저작권자 © 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