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전체 저수지 1만 7375곳 중 안전등급을 알 수 없는 곳도 8100곳에 달해 선제적 대응이 다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뉴시스]
국내 전체 저수지 1만 7375곳 중 안전등급을 알 수 없는 곳도 8100곳에 달해 선제적 대응이 다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뉴시스DB]

[뉴시안= 이태영 기자]국내 전체 저수지 1만 7375곳 중 A등급 779곳, B등급 3183곳, C등급 4720곳, D등급 509곳, E등급 35곳이며, 안전등급을 알 수 없는 곳도 8100곳에 달해 선제적 대응이 다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최근 내놓은 ‘건설동향브리핑 제946호’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시행한 인프라 총조사 결과, 저수지는 절반이 안전한 수준으로 조사됐으나 나머지는 보수, 보강 등이 필요한 D, E 등급과 안전성 여부를 알 수 없는 것이 49.8%에 달했다.

국토교통부는 2020년 5월부터 2023년 12월까지 도로, 철도, 저수지, 댐, 하수도 등 15종 47만8299개 시설물에 대한 인프라 총조사를 실시했다.

[도표=한국건설산업연구원]
[도표=한국건설산업연구원]

지역별로는 안전등급이 D, E등급인 저수지는 농경지 등이 많은 전남, 경북 지역에 다수가 분포됐다. 광역시는 D, E등급 저수지가 10개소 이하인 것에 반해 도 지역은 10개소 이상 존재했다. 특히 전남, 경북은 100개소가 넘으며, 안전등급을 알 수 없는 곳도 1500곳이 넘어 심각성을 더했다.

특히 안전등급 C등급 미만 및 미실시 저수지의 대부분이 건설 후 30년 이상 된 시설물로 나타났다. 안전등급 D등급 509곳 중 505곳, E등급 35곳 전체, 미실시 8100곳 중 7988곳이 30년 이상돼 노후화가 심각했다. 특히 전남, 경북, 경남은 안전등급도 낮고 노후화된 저수지가 1500곳이 넘는 것으로 조사됐다.

중앙부처(농림축산식품부) 소관 저수지는 비교적 잘 관리되고 있으나, D등급 저수지 67개소, 점검진단 및 성능평가 등급을 알 수 없는 저수지는 14개소에 달했다.

[도표=한국건설산업연구원]
[도표=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엄근용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D등급 및 미실시 모두 건설 후 30년 이상 된 노후 저수지로 빠른 점검과 조치가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극단적 강우 발생 확률 증가, 민의 안전과 재산 보호하기 위한 선제적 대응이 시급하다”고 짚었다.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패널)은 기후변화의 영향에 따른 불확실성이 커져 과거보다 극단적인 강도의 자연재난이 더 빈번히 일어날 것으로 예측한 가운데 국내 강수량 및 장마 강수량 역시 증가세를 보여 이 같은 우려를 뒷받침했다.

국내 연평균(1973~2023) 강수량은 연간 1.6mm, 집중호우 기간의 강수량은 1.5mm씩 증가하고 있다.

2022년 힌남노 태풍으로 오어지 저수지가 범람했다. 그로 인해 포항 냉천의 물이 넘쳐 인근아파트 지하주차장에서 7명이 숨지는 사고가 발생하는 등 매년 저수지의 범람 및 붕괴로 인한 피해가 발생하는 만큼 노후화되고 위험성이 큰 저수지의 선제적 대응이 시급하다.

엄근용 연구위원은 “현재 안전성 여부를 알 수 없는 안전점검 미실시 저수지에 대한 검사와 더불어 상대적으로 관리역량이 우수하면서 예산확보가 수월해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중앙부처 관리 저수지부터 보완하고 노후화 저수지에 대한 체계적 관리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