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8일 코로나19 발생 이후 식품시장 변화 상황에서 신성장 식품산업의 안전이슈와 안전관리 실태를 면밀히 분석하고, 식품시장 변화에 대응한 농식품 안전관리 대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사진은 급식 로봇이 점심식사를 조리하고 있는 모습으로 특정 기사와 무관하다. [사진=뉴시스DB]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8일 코로나19 발생 이후 식품시장 변화 상황에서 신성장 식품산업의 안전이슈와 안전관리 실태를 면밀히 분석하고, 식품시장 변화에 대응한 농식품 안전관리 대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사진은 급식 로봇이 점심식사를 조리하고 있는 모습으로 특정 기사와 무관하다. [사진=뉴시스DB]

[뉴시안= 이태영 기자]식품소비 패턴이 온라인 농식품 배송, 외식로봇, 외식 배달·테이크아웃, 무인 식품매장 등 현재 신성장 식품산업의 안전관리실태를 진단하고 산업성장과 조화를 이루는 안전관리방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8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포스트 코로나시대 식품시장 변화에 대응한 농식품 안전관리 대응과제’ 연구를 통해 코로나19 발생 이후 식품시장 변화 상황에서 신성장 식품산업의 안전이슈와 안전관리 실태를 분석하고, 식품시장 변화에 대응한 농식품 안전관리 대응과제를 제시했다.

연구를 진행한 박미성 연구위원은 “소비자들은 기존에는 없던 식품군과 거래방식을 접하면서 먹거리 안전성이 위협받고 있다는 우려를 가질 수 있다”며, “코로나19 발생 이후 식품시장 변화 상황에서 신성장 식품산업의 안전이슈와 안전관리 실태를 면밀히 분석하고, 식품시장 변화에 대응한 농식품 안전관리 대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래픽=한국농촌경제연구원]
[그래픽=한국농촌경제연구원]

우선 간편식 및 신소재·신식품 분야의 경우, 먼저 간편식 업체들은 소규모 업체의 자가품질검사 비용 부담 감소방안을 마련하고, 소규모 업체의 안전관리 컨설팅 및 인증 지원정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또한, 소비자는 간편조리세트의 나트륨·당류 등 영양성분 표시 의무화에 찬성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제도 도입 검토를 제안했다.

신소재·신식품 분야는 신소재 안전관리 규제 마련, 안전성 평가기준 마련 및 해외 모니터링을 지속해야 하며, 대체식품 표시 가이드라인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규제 변경사항을 사업주에게 신속·정확하게 전달하고, 소비자와 산업체 간 적극적인 소통이 가능하도록 정보전달 및 소통체계 마련도 필요하다고 짚었다.

[그래픽=한국농촌경제연구원]
[그래픽=한국농촌경제연구원]

특히 신소재(배양육) 업체들은 현재 정부의 세포배양육에 대한 안전관리방식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 시식·판매가 어려운 상황이지만, 싱가포르, 미국, 이스라엘 등에서는 시판이 허용되고 있어 세계시장 선점을 위해 제도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비대면 서비스의 경우, 온라인 농식품 배송에서는 새로운 유통채널의 특성을 고려한 차별화된 가이드라인 신설, 신선식품 배송박스 표준 마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 밖에 온라인 플랫폼 식품 위생·안전정보 제공 및 표시 방식 개선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제품 위생 및 안전에 관한 객관적 정보를 제공해 소비자들의 선택권을 보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점검 시 외식로봇 위생관리 항목을 추가하며, 외식로봇 안전성 인증에 대한 인센티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또한, 식약처 제공 가이드라인과 시행제도에 관한 홍보를 강화하고, 배달종사자 대상 위생교육 및 지침 제공과 함께, ‘음식점 위생등급 지정업소 표시제’의 항목 단순화를 통해 제도 활성화를 꾀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신생시장인 무인 식품매장의 위생·안전 개선방안으로는 관련 가이드라인을 발간·배포하고, 정기 지도·점검을 강화하며, 책임 상주자가 누구인지 명시하도록 하는 방안도 제시했다.

저작권자 © 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