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관광연구원이 12일 내놓은 ‘콘텐츠 이용 동기와 선호 장르’ 보고서에 따르면,  온라인 영상 콘텐츠 매체별 선호도는 OTT 동영상에서는 영화, 드라마를, TV 시청에서는 예능·연예, 뉴스를, 유튜브 동영상에서는 정보 콘텐츠를 선호했다. [사진=CGV]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이 12일 내놓은 ‘콘텐츠 이용 동기와 선호 장르’ 보고서에 따르면,  온라인 영상 콘텐츠 매체별 선호도는 OTT 동영상에서는 영화, 드라마를, TV 시청에서는 예능·연예, 뉴스를, 유튜브 동영상에서는 정보 콘텐츠를 선호했다. [사진=CGV]

[뉴시안= 이태영 기자]한국인의 콘텐츠 이용 동기는 재미·즐거움, 휴식/시간 보내기, 정보탐색, 습관, 새로운 경험/체험과 자기계발에도 활용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온라인 영상 콘텐츠 매체별 선호도는 OTT 동영상에서는 영화, 드라마를, TV 시청에서는 예능·연예, 뉴스를, 유튜브 동영상에서는 정보 콘텐츠를 선호했다.

12일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이 내놓은 ‘콘텐츠 이용 동기와 선호 장르’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인의 콘텐츠 이용 동기는 재미·즐거움이 41.0%로 가장 크며, 휴식/시간 보내기 28.4%, 정보탐색 6.3%, 습관 5.7%, 새로운 경험/체험과 자기계발이 각 4.5% 순으로 나타났다.

게임 콘텐츠, 웹툰·웹소설, 극장영화, 뮤지컬, OTT 동영상, 유튜브 동영상은 재미·즐거움이, 음악 콘텐츠와 TV 시청은 휴식/시간 보내기와 습관이, 도서는 자기계발이, 대중음악 콘서트는 팬덤/팬십이 가장 큰 이용 동기로 나타났다.

[그래픽=한국문화관광연구원]
[그래픽=한국문화관광연구원]

콘텐츠는 개인의 휴식 외에도 사회관계로서, 일상적 소비뿐 아니라 새로운 경험으로서도 소비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용 동기별 비중이 큰 콘텐츠를 보면, 새로운 경험/체험, 팬덤/팬십은 뮤지컬과 대중음악 콘서트, 자기계발과 학습/교육/배움은 도서와 유튜브 동영상, 사회관계는 극장영화와 뮤지컬, 경제적 수익은 유튜브 동영상으로 나타났다.

OTT 동영상에서 가장 선호되는 장르는 영화(37.5%)이며, 드라마 29.4%, 예능·연예 15.1%, 애니메이션 4.2%, 다큐멘터리 3.7%, 시사·교양 3.4%, 스포츠 3.0% 순으로 나타났다.

남성은 여성에 비해 OTT 동영상에서 영화, 시사·교양, 스포츠를, 여성은 남성에 비해 드라마, 예능·연예, 애니메이션을 더 선호도를 보였다. 연령별로 20대는 예능·연예와 애니메이션을, 30대는 예능·연예와 다큐멘터리를, 40대는 드라마를, 50대는 영화와 시사·교양을, 60대는 영화와 시사·교양과 다큐멘터리를 선호했다.

[그래픽=한국문화관광연구원]
[그래픽=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여성은 전반적으로 선호 장르가 자녀의 생애주기를 따르는 경향이 있으며, 청년층은 남성은 스포츠, 여성은 예능 프로그램으로 선호가 나뉘다 장년층에서는 남녀 공통적으로 다큐멘터리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대 남성은 애니메이션과 스포츠, 여성은 예능·연예와 애니메이션이, 30대 남성은 스포츠, 여성은 드라마, 예능·연예가, 40대 남성은 스포츠, 여성은 드라마와 어린이가, 50대 남성은 영화, 시사·교양, 액션, 여성은 교육이, 60대 남성은 영화, 다큐멘터리, 시사·교양, 기능성 영상, 여성은 다큐멘터리, 뉴스, 공연이 OTT에서 주로 선호되는 장르인 것으로 나타난 것.

TV 시청에서 가장 선호되는 장르는 예능·연예(30.1%)이며, 뉴스 24.7%, 드라마 17.2%, 스포츠9.1%, 시사·교양 8.8%, 다큐멘터리 5.0%, 영화 3.6% 순으로 나타났다. 남성은 여성에 비해 TV 시청에서 뉴스와 스포츠, 다큐멘터리, 영화를, 여성은 남성에 비해 예능·연예, 드라마, 시사·교양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청년층에서는 TV 애니메이션이 인기를 얻고 있으며, TV를 통해 청년층 여성은 예능·연예를, 중년층 남성은 뉴스를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픽=한국문화관광연구원]
[그래픽=한국문화관광연구원]

유튜브 동영상에서 가장 선호되는 장르는 지식정보(19.1%)이며, 요약/리뷰 10.5%, 여행 8.9%, 생활정보 8.7%, 웹 예능·연예 7.7%, 생활(브이로그) 7.2%, 음악 6.6%, 먹방·음식 5.8%, 게임 5.5%, 스포츠 중계 4.6%, 교육 4.1%, 동물 3.1% 순으로 나타났다. 남성은 여성에 비해 유튜브 동영상에서 지식정보, 여행, 게임, 스포츠 중계를, 여성은 남성에 비해 생활정보, 웹 예능·연예, 생활(브이로그), 먹방·음식을 더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연령이 증가할수록 지식정보, 여행, 생활정보 선호가 증가하는 반면, 요약/리뷰, 웹 예능·연예, 게임 선호는 감소하는 경향이 보이며, 상대적으로 20대는 게임과 요약/리뷰를, 30대는 웹 예능·연예와 생활(브이로그)를, 40대는 먹방·음식과 교육을 선호했다.

음악 콘텐츠에서 가장 선호되는 장르는 발라드(30.6%)이며, 아이돌/댄스 18.4%, 팝 16.1%, 클래식 6.2%, 힙합 5.5%, 트로트 5.0%, 록/메탈 5.0%, 재즈 3.3% 순으로 나타났다. 남성은 여성에 비해 팝, 힙합, 록/메탈을, 여성은 남성에 비해 발라드, 아이돌/댄스를 더 선호했다. 특히 연령이 증가할수록 클래식, 트로트 선호는 증가하는 반면, 아이돌/댄스, 팝, 힙합 선호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주로 혼자 즐기는 콘텐츠인 게임은 롤플레잉, 퍼즐을, 웹툰·웹소설은 로맨스, 판타지, 코믹을, 도서는 소설, 자기계발 장르를 선호했다. 게임 콘텐츠에서 남성과 청년층은 롤플레잉과 액션을 여성과 장년층은 퍼즐과 소셜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픽=한국문화관광연구원]
[그래픽=한국문화관광연구원]

주로 함께 즐기는 콘텐츠인 극장영화, 뮤지컬 등 극장용 콘텐츠의 선호 장르는 유사한 경향이 보였다. 남성은 액션·누와르, 스릴러, 공상과학을 여성은 드라마, 코미디를, 청년층은 범죄, 스릴러를, 장년층은 멜로를 선호했다.

웹툰·웹소설에서 가장 선호되는 장르는 로맨스(21.7%)이며, 판타지 16.5%, 코믹 14.2%, 일상 13.1%, 액션 9.8%, 무협/사극 7.5%, 스릴러 5.5%, 히어로 2.5%, BL 2.4% 순으로 나타났다. 남성은 여성에 비해 판타지, 코믹, 액션, 무협/사극, 스릴러, 히어로를, 여성은 남성에 비해 로맨스, 일상, BL(Boy’s Love)을 더 선호했다. 연령이 증가할수록 코믹과 무협/사극, 스릴러 선호는 증가하는 반면, 판타지, 액션 선호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도서에서 가장 선호되는 장르는 소설(27.3%)이며, 자기계발 18.0%, 인문/사회/역사 17.4%, 경제/경영 9.8%, 만화책 9.2%, 시/에세이 3.9%, 예술/문화 3.1%, 취미/오락 2.7%, 과학/기술/공학 2.5% 순으로 나타났다. 남성은 여성에 비해 자기계발, 인문/사회/역사, 경제/경영을, 여성은 남성에 비해 소설, 시/에세이, 예술/문화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은 사회진출/재진출하는 20대와 60대 자기계발 도서를, 여성은 중장년층에서 아동/청소년, 가정/생활/건강 등의 도서를 선호하는 등, 도서 선호 장르는 생애주기를 따르는 경향도 보였다.

[그래픽=한국문화관광연구원]
[그래픽=한국문화관광연구원]

극장영화에서 가장 선호하는 장르는 액션·누와르(22.9%)이며, 드라마 11.8%, 공상과학 9.8%, 로맨틱 코미디 9.7%, 판타지 8.6%, 스릴러 8.4%, 코미디 6.0%, 범죄 5.1%, 역사 4.9%, 애니메이션 4.0%, 멜로 3.0% 순으로 두드러졌다. 남성은 여성에 비해 액션·누와르, 공상과학, 스릴러를, 여성은 드라마, 로맨틱 코미디, 코미디를 더 선호했다. 연령별로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20대는 범죄와 애니메이션을, 30대는 로맨틱 코미디와 스릴러, 코미디를, 40대는 판타지를, 50대는 액션·누와르와 드라마, 공상과학을, 60대는 역사와 멜로, 전쟁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뮤지컬에서 가장 선호되는 장르는 드라마(40.5%)이며, 로맨틱 코미디 15.6%, 판타지 10.2%, 액션·누와르 8.2%, 멜로·코미디 7.8%, 스릴러 3.9% 순으로 나타났다. 남성은 여성에 비해 로맨틱 코미디, 액션·누와르, 스릴러, 공상과학, 전쟁을, 여성은 남성에 비해 드라마, 판타지, 멜로, 코미디를 더 선호했다. 연령별로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20대는 공상과학과 전쟁을, 30대는 스릴러와 탐정을, 40대는 드라마를, 50~60대는 판타지와 멜로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이용관 콘텐츠연구본부 한류경제연구팀장은 “콘텐츠 선호 장르 분석은 소비층별로 어떤 콘텐츠가 소구력을 갖는지를 보여주는 것으로 콘텐츠 창작자와 기업에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