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창원시 LG전자 스마트파크에서 로봇 팔이 냉장고 문을 조립하는 모습. [사진=뉴시스/LG전자]
경남 창원시 LG전자 스마트파크에서 로봇 팔이 냉장고 문을 조립하는 모습. [사진=뉴시스/LG전자]

[뉴시안= 이태영 기자]인공지능(AI) 시대가 가속화하면서 앞으로 한국에서 AI가 대체할 수 있는 일자리가 전체 일자리의 13% 수준인 327만개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특히 AI가 대체할 수 있는 일자리의 60%가 전문가 직종에 집중돼 있어 전문직 일자리 소멸 위험이 매우 커, 본격적인 인공지능 시대에 대비한 일자리 대책과 산업인력양성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3일 산업연구원이 발표한 ‘AI시대 본격화에 대비한 산업인력양성 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인공지능으로 대체될 일자리를 약 327만개로 전망하고 제조업 내 주요 산업 및 전문가 직종 일자리 소멸에 대한 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민순홍 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고숙련 AI 인력양성을 위해 현 학제 운영 체계를 정비하고 해외인력을 유치하기 위한 정책지원을 강화해야 한다”며, “안정적인 정책지원과 산업계의 투자 확대가 결합한 한국형 민-관 협력모델을 만들어 AI 성장동력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짚었다.

통계청 ‘기업활동조사’에 따르면 2022년 국내기업의 인공지능 도입률은 4% 수준으로, 주로 종사자 수 1000명, 매출 10조원 이상의 대기업 중심으로 도입이 시작되는 초기 단계로 조사됐다. ChatGPT와 같은 생성형 AI의 출현과 급속한 성능향상 속도를 고려하면 인공지능 영향이 가시화되는 시점은 빠르게 도래할 것으로 예상했다.

[그래픽=산업연구원]
[그래픽=산업연구원]

AI 노출지수로 일자리 소멸 위험을 예측한 결과, 2022년 전체 일자리 기준 13.1%인 327만개의 일자리가 사라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됐다.

산업별로는 제조업(93만개), 건설업(51만개),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46만개), 정보통신업(41만개)순으로 위험 일자리 수가 많았다. 제조업 내에서도 주요 산업인 전자부품제조업(19만개), 전기장비제조업(11만개) 기타기계·장비제조업(10만개) 화학물질·제품제조업(9만개) 자동차·트레일러 제조업 (6만개)에서 일자리 소멸 영향이 크게 예측돼, 인공지능 활용에 따른 일자리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직종별로는 AI가 대체 가능한 일자리의 59.9%인 196만개가 전문가 직종에 집중됐다. 공학전문가 및 정보통신전문가 비중이 높은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45만개), 정보통신업(38만개) 뿐만 아니라 건설업(43만개), 제조업(37만개) 내에서도 전문직 일자리가 대체 위험이 가장 큰 직종으로 예측됐다. 특히 금융업에서는 일자리 소멸 위험군의 99.1%가 경영·금융전문가 직종으로, 인공지능의 노동 대체 양상은 과거 로봇이 생산직 일자리를 대체한 것과 크게 다를 것으로 분석됐다.

인공지능 도입 초기인 국내 노동시장에서는 인공지능 활용에 따른 고용 대체 효과보다는 인공지능 도입에 필요한 개발 인력의 수요 대응이 더 시급한 것으로 풀이된다.

송단비 부연구위원은 “인공지능 연구개발이 활발히 진행되는 산업에서 석·박사급 인력 채용이 뚜렷하게 증가했다”며 “소프트웨어 연구개발 인력이 주로 대졸자인데 반해 인공지능 개발에는 더 높은 수준의 전문성이 요구된다”고 진단했다. 이는 AI 분야 인력수급 문제가 고급인력 부족에서 기인한다는 고용노동부 신기술 인력수급 전망 결과와 일치하며, AI 도입·구현을 고도화할 고학력/전문 연구개발 인재 육성이 현재의 당면한 과제로 분석된다.

보고서는 미래에 지속/창출될 일자리를 전망하고 이 일자리에 요구되는 스킬과 숙련도를 갖춘 인력을 양성할 전략 수립 필요성도 짚었다. AI 활용으로 생산성을 높여 경제성장을 촉진, 고용 규모 자체가 확대되도록 생산성 효과가 높은 섹터 중심으로 AI 도입을 촉진하는 인센티브 제공 방안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민순홍 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인공지능 활성화를 위한 고급 AI 인력양성을 위해 현재 SW중심대학과 AI대학원과 같이 SW(학사)/AI(석·박사)로 이원화된 인력육성 학제 운영을 정비해 AI 중심으로 일원화된 학사-석사-박사 체계로 재편, 인력양성의 효율성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확대되는 수요에 맞추어 짧은 시간에 필요 인력을 확보하기 위해 해외인력을 적극적으로 유치하고, 비자 발급 개선과 AI 인력 취업 연계 트랙을 신설하는 등 관련 정책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