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고용정보원은 ‘2022년~2032년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보거서에 따르면, 2028년부터 노동력이 본격적으로 감소하면서 2032년까지 장기 경제성장 전망치를 달성하기 위해 추가로 89만4000명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사진=뉴시스]
한국고용정보원은 ‘2022년~2032년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보거서에 따르면, 2028년부터 노동력이 본격적으로 감소하면서 2032년까지 장기 경제성장 전망치를 달성하기 위해 추가로 89만4000명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사진=뉴시스]

[뉴시안= 이태영 기자]2028년부터 노동력이 본격적으로 감소하면서 2032년까지 장기 경제성장 전망치(2.1~1.9%)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추가로 89만4000명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19일 한국고용정보원은 ‘2022년~2032년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을 통해 2032년까지 우리 노동시장의 공급(경제활동인구)과 수요(취업자)를 전망했다.

보고서는 15세 이상 경제활동인구는 인구 감소 영향으로 2022년부터 2032년 31만6000명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증가폭은 과거 10년간 증가 폭의 10분의1 수준으로 감소될 것으로 봤다. 특히 양적인 축소 뿐 아니라 고령층 비중 확대 등 구성효과로 인해 노동 공급에 제약 여건이 심화될 것으로 예측했다.

산업별로는 고령화‧돌봄 수요 확대 등으로 보건복지서비스업에서 가장 많이 증가하는 한편, 온라인 거래 활성화 등 산업구조 전환의 영향으로 도소매업, 제조업은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직업별로는 고숙련 수요 증가 및 산업구조의 서비스화로 전문가, 서비스직에서 큰 폭으로 증가하겠으나, 온라인화·자동화 등 기술변화로 판매직, 장치,기계조작 및 조립직, 기능원 등은 감소할 것으로 예측됐다.

[그래픽=한국고용정보원]
[그래픽=한국고용정보원]

아울러 장기 경제성장 전망치(2.1%~1.9%)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2032년까지 89만4000명이 필요하다고 짚었다.

산업별로 2032년 기준 추가 필요인력은 보건복지서비스업이 13만8000명으로 가장 많다. 제조업(13만7000명), 도소매업(11만8000명)순으로 나타났다.

직업별로는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20만2000명)와 사무종사자(15만2000명) 등 비교적 고숙련 직업군에서 추가 인력이 많이 필요할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고용정보원은 “생산인구 감소에 대응해 우선적으로 청년, 여성, 고령자 등 잠재인력의 노동시장 진입 촉진을 강화하고, 경제활동 잠재인력의 업종·직종별 정밀한 수요 예측을 통해 공급 확충, 숙련도 제고 등을 통해 노동생산성을 높여나갈 것”을 제언했다.

김영중 원장은 “이번에 추가 필요 인력 규모를 최초로 전망하는 등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을 지속적으로 고도화하고 있다”며, “앞으로 공급 제약으로 인한 노동력 부족에 따라 기업 구인난이 심화됨을 시사하고 있는 만큼 우리 사회와 기업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