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기업들은 근무시간이 줄어든 만큼 업무 효율을 최대한 끌어올릴 수 있는 노력을 병행하고 있다.(사진=뉴시스)
주요 기업들은 근무시간이 줄어든 만큼 업무 효율을 최대한 끌어올릴 수 있는 노력을 병행하고 있다.(사진=뉴시스)

[뉴시안=신민주 기자] 주 52시간 근무제 도입으로 인한 부작용이 예상보다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탈과로사회를 향한 첫 발을 비교적 무난하게 뗐다는 평가가 나온다.

최근 식품업계에 따르면 주 52시간 근무제를 시행한지 한 달째에 접어들었지만 현장에서도 변화에 자연스레 적응하는 분위기다. 특히 퇴근하면서도 직장 상사들의 눈치를 볼 일이 없다는 게 가장 큰 변화다.

정부는 지난 7월1일부터 300인 이상 사업장에 주 52시간제를 우선적으로 도입했다. 다만 6개월의 유예기간을 둬 이를 위반하더라도 처벌을 하지 않기로 했다.

하지만 52시간 시행 전부터 일부 기업들은 이미 PC오프제와 집중근무제 등을 통해 대비하고 있다. 갑작스럽게 근무시간을 단축하기보다는 미리 대비하면서 충격을 완화하겠다는 의도다.

주요 기업들은 근무시간이 줄어든 만큼 업무 효율을 최대한 끌어올릴 수 있는 노력을 병행하고 있다. 회의 시간을 줄이거나, 회의에 휴대전화를 지참하지 않고 보고서의 양을 줄여 집중도를 높이는 방식이다.

CJ제일제당이 대표적이다. 이미 몇 달 전부터 PC오프제를 마련해 출·퇴근 등을 입력하고 있다. 근무시간을 52시간 근무제에 맞춰 예행연습을 한 만큼 혼란은 없다는 입장이다.

CJ제일제당 관계자는 “늦게 출근하거나 일찍 퇴근하면서 개인 시간이 늘어나 직원들의 반응이 좋다”며 “사내 피트니스 센터를 이용하거나 어학 교육을 받고 오는 등 자기계발에 시간을 투자하는 이들도 많다”고 말했다.

롯데그룹 식품 계열사 관계자 역시 “정시퇴근을 독려하고 주말근무도 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며 “덕분에 조금 일찍 나가더라도 눈치를 볼 필요가 없어져 일찍 퇴근하는 문화가 정착되는 중”이라고 전했다.

300인 이상 사업장 3627곳 대상으로 이행 실태 점검 중 

외식·프랜차이즈 업계 관계자도 “현장에서 몸을 쓰는 일이 많은 만큼 이미 하루 8시간에 맞춰 근무를 해 왔다”며 “사무직도 비효율적인 업무를 줄여 무리 없이 근로시간 단축을 적용하는 중”이라고 말했다.

다만 인력이 부족한 지방에선 근무시간이 줄면서 생산량을 유지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지방에 제조공장을 두고 있는 일부 업체는 근무시간 단축에 대비해 직원을 추가로 채용하려 했지만 좀처럼 인력을 구하지 못하고 있다. 지방에 근무하려는 이들이 적은 탓이다.

업체 관계자는 “부족한 생산직 직원을 충원하기 위해 상시채용을 하고 있지만 쉽지 않다”며 “당장 여름 성수기에는 아르바이트생을 고용해 일손을 메우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우리는 성수기가 5개월인데 탄력근로제는 3개월만 적용되기 때문에 큰 도움은 되지 않는다”며 “이런 상황에서 처벌을 당하지 않으려면 생산량을 줄여야 한다”고 토로했다.

고용노동부 관계자는 “노동시간 단축으로 인한 긍정적인 효과를 거두려면 시간이 필요하다”며 “300인 이상 모든 사업장이 법을 제대로 지키고 있는지 모르지만 유예기간을 통해 서서히 적응해 가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고용부는 지난 1일부터 주52시간제가 적용된 상시 근로자 300인 이상 사업장 3627곳을 대상으로 이행 실태를 점검하고 있다.

저작권자 © 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