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기 신도시 주택공급계획 인포그라픽 (제공=국토교통부)

[뉴시안=조현선 기자] 정부가 7일 경기 고양창릉과 부천대장 등 2곳을 3기 신도시로 추가 지정했다. 주택시장 안정을 위해 서울 인근의 신규 택지를 자족기능과 교통망을 갖춘 신도시로 조성하겠다는 복안이다. 

정부는 경기 고양시 창릉동과 부천시 대장동을 3기 신도시로 지정해 총 5만8000호를 공급하겠다고 밝혔다. 서울 도심의 국공유지와 유휴 군부지 등 26곳에도 5만2000호를 공급키로 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주택공급 정책의 핵심으로 안정적인 주거 공급의 대안을 선택했다.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은 이날 오전 10시 정부서울청사에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수도권 주택 30만호 공급안-제3차 신규택지 추진 계획'을 내놓았다. 

신도시 입지는 고양시 창릉동(813만㎡·3만8000가구), 부천시 대장동(343만㎡·2만가구)으로 결정됐다. 또 ▲사당역 복합환승센터 1200가구 ▲창동역 복합환승센터 300가구 ▲왕십리역 철도부지 300가구 등 서울권 택지에도 모두 1만여 가구의 주택이 새로 들어선다. 

경기도권인 ▲안산 장상(신안산선 신설역) ▲용인 구성역(분당선 구성역·GTX-A 신설역) ▲안양 인덕원(4호선 인덕원역) 등에도 4만2000가구가 지어진다. 이를 포함한 택지 22곳에 공급되는 전체 주택 규모는 모두 11만가구에 달한다다. 

정부는 애초 계획보다 한달 앞당겨 서둘러 발표했다. 지난해 9.13 대책 이후 반년 가까이 하락하던 주택시장이 은마아파트 등 서울 재건축시장을 중심으로 반등 조짐이 보이자 서울과 서울 인접지역에 아파트 공급을 확대하는 카드를 서둘러 뺀 것으로 보인다. 대규모 3기 신도시 입지 추가 공개로 내집 마련 대기수요자들의 불안감을 해소하겠다는 취지다. 

김현미 장관은 모두발언을 통해 "집 없는 실수요자가 더욱 저렴한 비용으로 내 집을 마련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드는 것이 정부의 확고한 정책 의지"라며 "수도권 주택공급 확대 대책 등의 효과로 (집값) 하향 안정세가 지속되고 있지만 최근의 시장 안정세가 오랜 기간, 보다 확실하고 굳건하게 자리 잡아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신도시 계획에는 자족 기능과 교통망 확충에 특히 공을 들인 것으로 보인다.

창릉지구는 고양 창릉동과 용두·화전동 일대 813만㎡(3만8000가구) 규모다. 3기 신도시 예정지 6곳 가운데 왕숙1·2신도시에 이어 두번째로 규모가 크다. 이 가운데 판교테크노밸리의 2.7배 규모인 135㎡를 자족 용지로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경의중앙선 전철역 인근으로 조성하고 기업지원허브와 기업성장센터 등을 만들어 기업 유치 및 지원에 적극 나선다는 방침이다. 

교통망대책도 나왔다. 6호선 새절역에서 고양시청까지 지하철이 신설된다. '고양선(가칭)'이 신설되면 고양창릉 신도시부터 여의도까지 25분, 용산까지는 25분 안에 도달할 수 있다는 게 정부의 판단이다. 또 일산 백석동부터 서울문산고속도로를 연결하는 4.8㎞ 자동차 전용도로가 깔리고, 창릉지구와 제2자유로도 4차로로 연결된다. 

또 2만호가 공급되는 부천 대장(343만㎡)에는 김포공항역과 7호선 부천종합운동장역을 잇는 수퍼 간섭급행버스(S-BRT)가 개설된다. S-BRT를 이용하면 부천대장 신도시에서 서울역까지 30분, 여의도까지는 25분 안에 도달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번 계획은 문재인정부의 부동산정책 핵심 가운데 하나인 '투기수요 억제'를 재차 강조하면서 무주택자 등 실수요자에게 안정적인 주거공급 기조를 유지한다는 뜻을 명확히 한 것으로 풀이된다. 투기수요 억제와 주택공급 확대 정책을 같이 추진해 주택시장 안정화를 꾀하겠다는 포석이다. 

전문가들은 서울과 수도권에 주택 공급 확대 신호 자체가 중장기적인 집값 안정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놨다. 무엇보다 주택시장을 실수요자 위주로 재편하기 위하 정부의 정책적 일관성 유지 기조를 재차 강조했다는 분석이다. 

이에 이번 발표가 주택시장 안정화에 기여하고 주택 수요를 일정 부분 분산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본격적인 입주 시점은 최소 3년에서 5년 정도다. 체감 기간은 긴 편이나 주택시장에 대규모 신도시 조성이라는 명확한 공급 신호를 보낸 만큼 향후 주택시장 안정화를 견인할 것으로 전망된다. 

저작권자 © 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