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사진=뉴시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사진=뉴시스)

[뉴시안=김기율 기자]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최근 정부가 발표한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이 가계부채 증가세를 더 둔화시키는 데 효과가 분명히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 총재는 지난 17일 서울 중구 한은 본부에서 열린 출입기자 간담회에서 “가계부채가 소득보다 높은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은 우리 경제가 안고 있는 취약점 중 하나”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우리나라 가계부채는 주로 주택담보대출 동향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며 “정부의 이번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으로 주택담보대출에 대한 규제가 강화됐고, 그 외에도 주택 수요에 영향을 주는 조치들이 담겨 있다”고 설명했다.

이 총재는 집값 상승 원인 중 하나로 풍부한 유동성이 지목된 것에 대해선 “금리 인하가 주택 수요를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했겠지만, 당시 거시경제 여건과 금융안정 상황에 비춰볼 때 경기와 물가에 더 중점을 둬야 했다”고 말했다.

그는 “올해 성장세가 예상보다 크게 둔화했고 물가상승세도 현저히 약화됐기 때문에 경기 회복을 촉진하고 물가 하방압력을 완화시켜야 할 필요성이 상당히 커져 금리를 내렸다”고 강조했다. 앞서 한은은 지난 7월과 10월 두 차례에 걸쳐 0.25%포인트 씩 금리를 내린 바 있다.

소비자물가상승률이 물가안정목표를 밑도는 현 상황에 대해서는 “경제 성장세가 낮아짐에 따라 수요 측 물가압력이 약화되고 국제유가 하락, 지난해 농축수산물 가격 급등에 따른 기저효과, 정부의 복지정책 강화 등이 물가 하방 압력으로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구조적으로도 글로벌화 및 정보통신(IT) 기술 발전에 따른 기업의 생산비용 절감, 전자상거래 확산에 따른 유통비용 절감 등이 하방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고 온라인을 통한 해외직접구매 확산 등 소비행태의 빠른 변화도 저인플레이션에 일정 부분 기여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또 인구 고령화, 자동화 진전 등 노동시장 변화도 저물가 원인으로 꼽았다.

이 총재는 “경제구조 변화는 주요국에서도 나타나고 있는 현상”이라며 “통화정책의 파급경로와 효과가 과거와 달라졌을 수 있다는 점에서 물가 안정을 중요 목표로 하는 중앙은행 입장에서 큰 고민이 아닐 수 없다”고 우려했다.

그는 “미 연준이나 유럽중앙은행(ECB) 등 주요국 중앙은행도 저인플레이션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정책여건 변화에 적합한 통화정책 체계와 전략에 대한 점검을 진행 중이거나 계획하고 있다”며 “한은도 물가안정목표제의 유효성을 점검하고 효율적 운영 방안을 모색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향후 통화정책 방향에 대해서는 “물가안정목표제의 취지는 단기간 내에 달성해야 하는 개념이 아닌 중기적 시계에서 지향해 나갈 목표”라며 “물가 움직임만 보고 통화정책 완화 정도의 추가 조정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경기와 금융안정 상황, 추가 조정 시 예상되는 효과와 부작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