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별 경영권분쟁 전후 소액주주 현황. [사진=리더스인덱스]
기업별 경영권분쟁 전후 소액주주 현황. [사진=리더스인덱스]

[뉴시안= 박은정 기자]경영권 분쟁 후 기업들의 개인 소액주주 수가 확연히 줄어드는 현상이 반복되고 있다. 이는 분쟁이 시작할 때 차익을 위해 몰려든 개인 소액주주들이 분쟁이 마무리될 때 발을 뺀 것으로 분석된다.

24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가 2000년 이후 경영권 분쟁을 겪은 주요 10개 기업의 분쟁 전후 개인 소액주주 수를 분석한 결과, 분쟁 직전 대비 종결 후 개인 소액주주 수가 평균 26.7% 감소했다.

현대그룹은 2003년 8월 현정은 회장과 정상영 KCC 명예회장이 현대엘리베이터를 두고 경영권 갈등을 겪었다. 당시 반기 기준 개인 소액주주는 1만7828명이었지만 분쟁이 마무리된 같은 해 말에는 1만1921명으로 집계됐다. 약 33% 줄어든 것이다.

DL그룹(전 대림그룹)도 2003년 숙질 간의 경영권 분쟁이 발생했다. 이재준 창업주의 동생 이재우 대림통상 회장과 이부용 고문이 지분 쟁탈전을 벌인 것이다. 2002년 말 대림통상의 개인 소액주주가 1740명이었지만 경영권 분쟁 이후인 2003년 반기 이후 1311명으로 24.7% 낮아졌다.

2005년 7월 두산그룹 경영권을 두고 벌어진 '형제의 난'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반복됐다. 2003년 반기 말에 1만212명이었던 개인 소액주주는 분쟁 이후인 2006년 초 7307명으로 28.4% 줄어들었다.

2009년 6월 금호그룹의 박삼구 회장과 박찬구 금호석유화학 회장간의 경영권 분쟁을 전후해서도 아시아나항공과 금호건설의 개인 소액주주가 각각 10.9%, 15.4% 줄었다.

2014년 일명 '땅콩회항'으로 촉발된 한진그룹의 오너리스크도 3세 간 경영권 분쟁으로 이어졌다. KCGI가 2020년 한진칼 3대 주주인 반도건설·조현아 전 대한항공 부사장과 '3자 연합'을 결성해 조원태 회장의 경영권을 위협하자 소액주주는 3만5926명(2019년 초)에서 5만5801명(2020년 말)까지 증가했다.

이후 산업은행이 유상증자 참여를 마치고 조원태 회장의 경영권을 지지하면서 2021년 1분기 4만4847명으로 19.6% 감소했다.

2020년 6월 한국타이어그룹에서 발생한 경영권 분쟁 당시에는 한국앤컴퍼니 소액주주 수가 2021년 반기 2만2330명에서 분쟁이 마무리된 같은 해 말 2만2052명으로 1.2% 줄어들었다.

반면 경영권 분쟁이 진행 중인 기업에서는 개인 소액주주 수는 증가하고 있었다. 현재 경영권 분쟁이 마무리되지 않은 영풍그룹의 고려아연은 지난해 반기 소액주주가 3만3783명에서 올 반기에는 4만6525명으로 37.7% 늘었다.

영풍그룹의 주요 계열사인 코리아써키트의 소액주주도 동기간 2만1345명에서 3만5863명으로 68.0% 증가했다.

저작권자 © 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