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의 자전거 무인대여시스템 따릉이 홈페이지 (화면 캡쳐)
서울시의 자전거 무인대여시스템 따릉이 홈페이지 (화면 캡쳐)

[뉴시안=박성호 기자] 지난 3월 대통령직속 4차산업혁명 위원회는 '제5차 규제·제도혁신 해커톤'을 개최해 전기자전거가 합법적으로 자전거 도로를 주행할 수 있게 규제완화 방안을 마련했다.

그동안 관련 법규정이 미비해 준비가 어려웠던 전기자전거 시장이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가운데 지자체로는 최초로 서울시가 공공 자전거 서비스에 전기자전거를 도입한다.

서울시는 11월 시범 운영을 목표로 현재 운영중인 무인 대여 반납 시스템 서울 자전거 '따릉이'에 전기자전거를 도입한다고 밝혔다. 지방자치단체중 전기자전거를 도입하는 것은 서울시가 처음으로 이를 위해 시는 22억원의 예산을 확보하고 1000대를 발주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초로 서울시가 따릉이를 운영하지 시작한 것은 2015년 10월이다. 어느새 4년을 운영하며 2만여대의 자전거를 1500여곳의 거치대에서 운영중이다. 

자전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은 2008 고유가로 인해 대체수단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졌다. 당시 임기 초창기였던 이명박 정부는 그동안 흉내내기에 그쳤던 자전거 도로를 대폭 강화했다. 다른 색으로 포장하며 일반 도로와 자전거 도로를 차별화했고 4대강 유역에는 자전거 전용도로가 설치되기도 했다. 

한강, 금강, 영산강, 낙동강 종주 자전거길이 큰 축으로 구성된 4대강 자전거길은 모두 합할 경우 총 길이 2078km로 전국을 종주할 수 있다. 이렇듯 시내에서 전국으로 연결되는 자전거도로에 이제 전기자전거가 달리는 것을 더 자주 발견할 수 있을 전망이다. 

자동차 업계는 전기차 개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현실적으로는 전기자전거 보급이 국민들의 삶에 실질적인 영향력을 끼칠 수 있다는 사례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마포에 근무하는 직장인 A씨는 출퇴근 버스 교통비 2400원을 지불해 왔다. 자전거를 타면 10분 남짓이지만 걸어가면 20분 이상 걸리는 길이다. 이럴 경우 따릉이로 교체하면 얼마나 절약이 될까.

따릉이는 여러가지 요금 체계가 있지만 대략 1시간당 1천원으로 계산하면 된다. 아침 저녁 대여해서 자전거를 탄다면 왕복 평균 30분, 약 500원의 요금이 발생한다. 하루 1900원을 절약할 수 있다는 이야기다. 주 5일 기준으로 하면 한 주에 1만원, 1년이면 약 50만원의 교통비를 아낄 수 있다. 

전기자전거가 도입되며 요금제가 일부 조정될 수도 있겠지만, 도심내 이동하는 직장인들에게 비용 절약하면서 환경도 생각하고 더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개인교통수단이 생긴다는 점에서 환영하는 바이다.

 

저작권자 © 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