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전 11시 20분쯤부터 전국 곳곳에서 KT의 유·무선 통신 장애를 겪고 있는 가운데 25일 서울 노원구에 위치한 한 식당에 KT 접속장애로 인한 현금결제 안내문이 붙어 있다. (사진=뉴시스)
지난 10월 KT의 유·무선 통신 장애 당시 서울 노원구에 위치한 한 식당에 KT 접속장애로 인한 현금결제 안내문이 붙어 있다. (사진=뉴시스)

[뉴시안= 조현선 기자]정부가 통신재난 위기경보 '경계' 이상 발령 시, 공공·상용 와이파이를 개방키로 했다. '재난 와이파이'를 제공해 제2의 'KT 통신대란' 사태를 막겠다는 방침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네트워크 안정성 확보 방안'을 29일 발표했다.

이는 지난 10월 발생한 KT 네트워크 장애 사고에 대한 후속 대책으로 마련했다. 당시 대대적인 통신 장애로 인해 전국 인터넷을 비롯, 상점 포스기 결제와 온라인 수업, 증권거래 등 서비스가 일시 먹통된 데 따른 재발방지 대책을 내놓은 것이다.

해당 방안에 따르면 정부는 통신사 상호 협력체계를 구축, 통신사의 자체 복원력을 강화하는 동시에 이용자에게는 다양한 예비복원수단을 제공하기로 했다.

먼저 국지적 무선망 장애 발생시 이용자들이 기존 단말을 활용해 타 통신사의 무선통신망을 이용하는 로밍 규모를 시·도 규모 통신재난에 대응할 수 있도록 1.5배(현 200만→300만) 확대 추진한다.

또 유무선 장애시 인터넷 긴급 사용을 지원한다. 이를 위해 통신재난 위기 경보 '경계' 발령 시 총 34만개의 공공(7만2000여곳) 와이파이와 이동통신3사의 상용 와이파이를 개방하고, 누구나 쉽게 알 수 있는 '재난 와이파이'를 별도 송출하기로 했다. 사별로는 KT 10만3000여개, SKT 8만8000여개, LG유플러스 7만6000여개 등이다.

지난 KT 통신대란 당시 카드 포스기 먹통 등으로 피해를 봤던 소상공인을 위한 백업 서비스도 지원한다. 가령 유선인터넷 장애 시 휴대폰으로의 테더링(무선통신)을 통한 포스기 결제가 가능하도록 무선통신 기능을 개발한다. 중장기적으로는 표준 공용단말 등 관련 기술 개발을 통해 재난 시 주회선을 대체해 서비스 제공시에만 요금을 부과하는 무선 백업요금제를 검토할 계획이다.

아울러 유선망의 장애가 무선망의 인터넷 장애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무선망에서도 자사 유선망 외 재난 시 활용 가능한 인터넷 접속경로를 확보하는 유무선 접속경로 이중화도 추진키로 했다.

주요 기간통신사업자의 네트워크 오류 예방·대응 체계도 강화하기로 했다. 전국망에 영향을 주는 코어망 오류 예방을 위해, 모의시험체계를 활용한 사전검증을 코어망 전체 작업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오류를 조기발견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인공지능(AI)이 전체 네트워크에서 문제를 자동으로 예측해 관제센터에 알려주고, 소프트웨어 기반(SDN)으로 네트워크도 자동으로 관리하는 기술도 개발하기로 했다. 

아울러 이용자가 네트워크 장애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문자메시지(SMS) 또는 SNS(카카오톡, 라인 등)를 통해 지체 없이 장애를 고지하도록 제도를 개선할 계획이다. 

이 밖에 기간통신사업자의 서비스 안정성 확보의무, 사전적인 기술적·관리적 조치의무, 장애고지의무, 네트워크 안정성 조치현황 연차보고서 작성 등에 대한 제도적 근거도 마련하겟다는 방침이다.

과기부 관계자는 "기간네트워크가 신뢰성와 안정성을 갖춰 향후 디지털경제 성장의 밑거름이 될 수 있도록 다양한 내부, 외부 요인에 의한 네트워크 장애를 예방 대응하기 위해 마련된 이번 대책을 철저히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