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 4차산업혁명 포럼. 각 지방 자치 단체가 4차산업혁명 관련해 정책 개편에 활발하다. 사진=뉴시스

[뉴시안=송범선 기자] 4차 산업 혁명 체제로 세계 경제 환경이 개편됨에 따라, 현재 정부의 지원뿐만 아니라 울산시와 오산시 등 각 지방 자치단체도 4차 산업혁명 관련해 여러 법안을 마련하고 자금을 지원하는 상황이다. 각 지방단체는 스마트시티 기반 마련과 안전한 복지사회 조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중이다.

울산시는 지역을 ‘4차 산업혁명'의 성장 거점으로 육성하기 위한 발전 전략 수립에 나섰다고 지난 26일 밝혔다.

이 계획은 주력산업의 경쟁력 향상과 신산업 육성을 위한 것으로 총 사업비는 총 5조1959억원이다. 4대 분야, 12개 핵심전략, 100대 과제로 구성됐다. 4대 분야는 주력산업 고도화· 첨단화, 융복합 신산업 육성, 스마트 제조혁신, 4차 산업혁명 혁신기반 등이다.

울산시는 스마트 제조 혁신과 관련, 3D프린팅 R&D클러스터 조성 4개 사업에 2235억원, 수요산업 연계 3D프린팅 핵심기술개발 2개 사업에 610억원을 들여 추진한다. 또 4차 산업혁명 혁신기반 조성을 위해 관련 특화연구기관과 해외 우수연구기관 유치, 해외 우수기관과의 기술교류 확대 등에도 주력한다.

경기 오산시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을 활용한 공공복지 서비스 확대사업을 추진한다고 지난 22일 밝혔다.

오산시는 독거노인 500명에게 활동량 감지기능이 있는 밴드형 단말기를 보급하고 집안에 모션센서 등을 설치해 독거노인 돌보미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 치매노인에게 웨어러블 단말기를 보급해 치매환자의 동선이 이탈하면 보호자에게 알려주는 알림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각 기관 및 대학교도 4차산업혁명 관련해 정책 개편에 활발하다. 사진=뉴시스

4차 산업혁명이란 인공 지능(AI), 사물 인터넷(IoT),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모바일 등 첨단 정보통신기술이 경제·사회 전반에 걸쳐 융합돼 혁신적인 변화가 나타나는 차세대 산업혁명을 의미한다. 더불어 3D 프린팅, 로봇공학, 생명공학, 나노기술 등 여러 분야의 신기술과 결합되어 현실세계 모든 제품·서비스를 네트워크로 연결하고 사물을 지능화하는 것도 포함한다. 4차 산업혁명은 컴퓨터, 인터넷으로 대표되는 제3차 산업혁명(정보 혁명)에서 한 단계 더 진화한 혁명으로 일컬어진다.

각 기관의 4차 산업혁명 관련 계획과 자금 지원 현황이 점점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삼성도 반도체만으로 부족하다하여 4차 산업혁명 관련 사항들을 미래 먹거리로 손꼽고 있다. 이에 전문가들은 대한민국 4차 산업의 발전을 통해 미래 먹거리를 마련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최근 국내 4차 산업혁명 관련 매출 증대에 따라 정부는 추가적인 예산 지원이 이뤄지는 상황이다.

26일 정부의 발표에 따르면 내년도 산업기술 연구·개발(R&D) 예산 전체 규모는 전년보다 소폭 줄었지만 미래신산업· 주력산업 지능화 등 혁신성장을 위한 중점투자 분야 예산은 지난해 1조5507억원에서 1조6624억원으로 늘어났다.

산업부는 주력산업 고도화와 융합산업 육성, 인력양성 및 기반구축, 에너지 기술개발 등 국민생활과 산업에 필수적인 R&D 사업에 대해서는 지속적으로 투자한다는 계획이다.

정부에 이어 중소벤처기업부도 중소기업에 대한 4차산업혁명 관련 지원을 아끼지 않는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지난 25일 '2018년도 중소기업 R&D 지원사업 통합공고'에서 4차 산업혁명 3대 전략분야와 관련한 내용을 발표했다.

여기에는 인공지능(AI)·빅데이터, 증강현실(AR)·가상현실(VR), 로봇, 미래형 자동차 등 15대 핵심기술을 지정하고 전략분야에 대해 중점적으로 투자하는 내용이 담겼다. 창업기업 전용 R&D를 올해 1976억원에서 내년 2727억원으로 증액하는 한편 도전성이 높은 과제에 대해서는 실패시 면책하는 등 예산 집행의 자율성도 확대하기로 했다.

정부와 각 지방자치단체의 4차산업혁명 예산 지원에 따라 수혜를 볼 산업으로는 자율차, 스마트 도로, 스마트 신호 시스템, 지능형 교통안전 시설물 등이 있다. 자율차 운전자 지원 시스템으로 고속도로 준자율차 상용화가 정부목표하에 이뤄질 전망이다. 2017년 스마트 도로는 0.2%에 불과하지만 2022년에는 35%까지 확장될 것으로 분석된다. 또 정부의 목표에 따르면 스마트 신호 시스템은 2016년 30조원에서 27조원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이밖에 돌보미로봇, 스마트 공장, 스마트팜, 스마트 상하수도(기존 26%에서 2025년 49.6%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등 여러 분야에서 4차산업혁명의 지원이 이뤄질 예정이다.

NH투자증권 김병연 연구원은 “2018년의 경우 4차 산업혁명 대응 계획에 따른 구체안이 발표될 때마다 이슈/테마가 재차 형성될 전망이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