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팜을 통해 자동으로 소에게 먹이를 줄 수 있다. 사진=농촌진흥청

[뉴시안=송범선 기자] 농촌진흥청은 올해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 기술 등을 활용해 지능형 농장(2세대 스마트 팜) 개발에 나선다고 6일 발표했다. 또 스마트팜 산업화를 주도한 스마트 농업 전문가 105명도 연내 육성할 계획이다.

이로써 농업 분야에도 4차 산업혁명으로 농업 자동화가 이뤄질 전망이다. 더이상 농사는 과거와 같이 힘들고 고된 노동이 아닌 것이다.

과거 농부는 하루종일 농장을 지키고 돌봐야 했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작물은 시들고 1년 농사에 실패하게 마련이었다. 그러나 앞으로 5년 안에 농부는, 외국으로 여행을 가서도 농장을 돌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스마트 팜(smart farm)은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해 원격 또는 자동으로 작물의 생육환경을 최적의 상태로 관리하는 지능화한 농장을 말한다. 또 사용자는 스마트 팜을 통해 자동으로 소 등의 가축에게 먹이를 줄 수 있다.

현재 스마트팜 기반의 농업 수출국으로 대규모의 스마트팜을 운영하는 대표적인 국가는 네덜란드와 일본이다.

우리나라는 농업진흥청, 농림축산식품부 주도로 2014년부터 정보통신기술 융복합 기술기반 스마트팜 활성화를 목표로 시범 사업 및 시범 농장 운영을 진행했다. 현재 우리나라는 13개 지역 37개 농가가 스마트팜으로 시범 운영 중이다. 

충남 부여의 스마트 팜 토마토 농장의 경우 노력이 50% 이상 절감됐다는 통계가 있다.

편의성을 갖춘 1세대 스마트 팜에 AI 의사결정 지원 기능을 접목하는 게 농진청의 올해 목표다.

2세대 스마트 팜은 사물인터넷(IoT) 기술 등을 통해 각종 빅데이터를 종합적으로 수집해 생육환경의 분석이 가능하다. 농장에서 수집하는 빅 데이터로는 농·축산업 시설의 온도, 습도, 햇볕양, 이산화탄소, 토양 등이 있다. 이 빅데이터 분석 결과에 따라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을 활용한 원거리 원격 제어장치를 구동한다. 이는 생산성을 극대화로 이어질 것이란 분석이다.

이처럼 스마트 팜으로 농업의 생산, 유통, 소비 과정에 걸쳐 생산성 극대화와 효율성 및 품질 향상 등을 도출해 낼 수 있다.

스마트 팜을 통해 얻는 이점은 다양하다.

스마트 팜으로 농촌 인구 감소와 농가 소득 정체 등의 문제점이 개선될 수 있다. 또 농업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또 근본적으로 전 세계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시점에서 '미래에 부족한 먹거리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농업진흥청(이하 농진청)은 2020년까지 1세대 편의성 향상과 2세대 생산성 향상 기술을 접목해 스마트 팜 기술을 완성시킬 것이라 밝혔다. 농진청은 최종적으로 에너지 최적화와 친환경 에너지 및 인공지능을 활용한 스마트 팜 통합시스템을 개발할 계획이다. 

스마트 팜을 통해 원격 또는 자동으로 작물의 생육환경을 최적의 상태로 관리할 수 있다. 사진=농촌진흥청

농진청은 해외 사업에도 활발하다. 스마트팜 기술은 수출할 계획으로도 이어지고 있다.

올해 8월중 아프리카 가나에 해외농업기술개발사업(KOPIA) 센터를 설치한다. 또 남북 관계 개선에 대비한 북한농업 연구도 강화할 예정이다.

이번 평창올림픽에서도 농진청의 활동이 전시회를 통해 공개된다. 

지난 5일 농촌진흥청은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및 패럴림픽’ 기간 동안 평창 대관령주차장에 ‘농업기술전시관’을 개관한다고 밝혔다. 2018 동계올림픽은 2월 8일(목)부터 3월 18일(일)까지 강원도 평창에서 개최된다.

이번 전시에서는 4차 산업연계 농업기술, 스마트 팜 기술과 우수한 품종 전시 등 우리나라 농업기술개발 성과와 비전을 한 자리에서 볼 수 있다.

농진청에 따르면 이번 올림픽대회 기간 동안 국내외 관광객 누구나 농업기술전시관을 무료로 관람할 수 있다고 밝혔다.

황규석 농촌진흥청 연구정책국장은 "농업기술전시관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새로운 가치로 주목받고 있는 농업과 농촌의 잠재력을 보여주기 위해 마련된다."라며 "우리나라의 농업기술과 농촌문화를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