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해 11월 14일 필리핀 마닐라 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20차 ASEAN+3 정상회담에 참석하고 있다. 왼쪽부터 문재인 대통령, 아베 신조 일본 총리, 리커창 중국 총리.(사진=뉴시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해 11월 14일 필리핀 마닐라 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20차 ASEAN+3 정상회담에 참석하고 있다. 왼쪽부터 문재인 대통령, 아베 신조 일본 총리, 리커창 중국 총리.(사진=뉴시스)

[뉴시안=이준환 기자] 그동안 논의되던 한·중·일 정상회담 날짜가 정해졌다. 2015년 이후 중단됐다가 2년 반 만에 열리는 이번 회담은 9일 일본에서 열린다.

문 대통령으로서는 남북 정상회담 이후 첫 다자회의가 되는 이번 3국 정상회담에서 '4·27 판문점 선언'을 지지를 이끌어내기 위한 주변국의 이해와 설득에 주력할 예정이다.

문 대통령은 9일 당일 오전 일본으로 출국, 도쿄 영빈관에서 한·중·일 정상회의에 참석한다.

리커창(李克强) 중국 총리,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 함께 3국 정상은 최근 급변하는 정세와 함께 경제와 환경 등 포괄적인 안건을 두고 협력 방안을 논의한다.

3국 공통 현안을 다루는 제1세션에서는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 문제를 3국이 공동 대응하는 방안을 모색한다.

3국 간 액화천연가스(LNG) 도입문제, 그리고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을 시작으로 2020년 도쿄 하계올림픽,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으로 이어지는 체육행사를 계기로 3국 간 체육 교류를 활발히 하는 방안도 논의한다고 한다.

문 대통령은 일본경제단체연합회(게이단렌·經團聯) 주관으로 '한·중·일 비즈니스 서밋'에도 참석하여 3국 경제인을 만나고 일본 총리실에서 별도로 아베 총리와 한일 정상회담도 가질 예정이다.

3국 공동성명 두고 한·중·일 기 싸움 벌이기도

이번 회담에서 주목을 받고 있는 분야는 국제 정세를 다루는 제2세션. 문 대통령은 이번 남북 정상회담의 결과와 '판문점 선언'의 성과와 의미를 설명하고, 합의를 이행하기 위한 두 나라 정상의 협력과 지지를 당부할 계획이다.

문 대통령은 정상회의 직후 리커창 중국 총리, 아베 일본 총리와 함께 공동 언론발표를 통해 정상회의에서 합의한 내용을 발표할 예정이다.
 
문 대통령은 의장국 주최로 이뤄지는 공동선언과는 별도로 판문점 선언을 지지하는 내용의 3국 정상의 특별성명을 채택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북한의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돌이킬 수없는 비핵화(CVID)”와 탄도 미사일 폐기, 납치 문제 등의 내용을 담은 공동 문건을 발표하자고 주장해왔으나 비핵화 방식을 놓고 중국과 한국의 입장은 조금 다르다.
 
아베 총리와 시진핑 주석의 전화 회담에서는 북한 비핵화를 지향한다는 점은 의견 일치를 보였으나 아베 총리의 “검증 가능하고 불가역적인 방법으로 비핵화(CVID)를 실현할 때까지 압력을 유지해야 한다”는 주장에 시 주석은 냉담했다.

시 주석은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체제는 동시에 진행해야 한다”는 입장을 보인 것이다.   
 
도쿄 신문에 따르면 “중국은 비핵화에 따른 보상으로 제재를 완화하고 경제지원도 해야 한다는 입장에 가깝지만, 한·미·일은 빠른 시일 안에 핵 폐기 실현을 목표로 하는 만큼 ‘단계적 조치’에는 부정적”이라고 한다.

6일 아사히신문은 6일 "중국에서는 일본이 압력만 얘기할 거면 논의에 넣을 필요가 없다는 말까지 나오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우리나라는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돌이킬 수없는 비핵화(CVID)’라는 문구는 북미 정상회담에서 다시 확인될 내용이므로 여기서 굳이 넣을 필요가 없다는 입장이다.

이미 판문점 선언에서 완전한 비핵화를 선언했고, 북미 정상회담에서 구체적인 내용을 정할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이는 북미 정상회담에 무게를 실어주고자 하는 의지도 담긴 것으로 보인다.

CVID 명기는 북미 정상회담에 양보

CVID 명기는 이미 청와대에서 부인했던 바다. 지난 3일 청와대는 한·중·일 정상회의에서 CVID의 내용이 담긴 공동선언이 채택될 것이라는 일본 언론 보도를 공식적으로 부인했다.
 
7일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CVID 명기 대신 “판문점 선언을 지지한다”는 선에서 그칠 것으로 보인다. 한·중·일 3국이 코앞에 다가온 회담을 앞두고 의견조율에 기싸움을 벌이다 이제 가닥을 잡아가고 있는 단계.
 
비록 의견 조율이 쉽지는 않았지만 이번 3국 정상회의는 여러모로 뜻 깊다. 중국 총리가 일본을 방문하는 것은 2011년 5월 원자바오 총리 이후 7년 만이고, 한국 대통령의 일본 방문은 2011년 12월 이명박 대통령 이후 6년 반 만이다.

또한 이번 한중일 3국 정상 회의는 2008년 처음 시작돼 2015년 11월 우리나라에서 6차 회의가 열린 뒤로 이번이 7차 회의가 된다.
 
문 대통령은 이번 일본 방문으로 취임 1년 안에 한반도 주변 4개국 방문을 마무리하게 된다.

저작권자 © 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