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장기화로 비대면 금융서비스가 급격히 확산하면서 시중은행의 점포 폐쇄가 잇따르는 가운데 서울 한 은행점포에 통합 이전 안내문이 부착돼 있다. (사진 제공=뉴시스)
코로나19 장기화로 비대면 금융서비스가 급격히 확산하면서 시중은행의 점포 폐쇄가 잇따르는 가운데 서울 한 은행점포에 통합 이전 안내문이 부착돼 있다. (사진 제공=뉴시스)

[뉴시안= 김나해 기자]코로나19로 지난 2년간 몸살을 앓는 동안, 시중은행 점포가 10% 넘게 줄어들었다. 

31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2021년 한 해 동안 국내은행 신설 점포수는 20개에 불과했으나 폐쇄 점포수는 311개였다. 2020년말 6405개에서 2021년에는 6094개로 준 셈이다. 특히 시중은행의 점포는 230개가 줄었다.

이는 코로나 이전의 감소숫자(∆18년도 23개 ∆19년도 57개)보다 훨씬 많다. 20년도에도 304개가 줄었다.

특히 2021년의 경우 대도시권(수도권ㆍ광역시)에서만 244개가 줄어들며 전체 감소분의 78.5%를 차지했다. 이는 주로 비도시권에 점포가 많은 농협의 점포수가 27개 준데 반해 대도시권에 주로 점포를 두고 있는 국민ㆍ하나ㆍ우리ㆍ신한은행에서 각각 137개ㆍ111개ㆍ106개ㆍ92개씩 매장을 줄인데 따른  것이다.

점포 감소는 금융의 디지털 혁신 가속화와 코로나로 인한 비대면거래 확대, 인터넷ㆍ모바일 뱅킹 등 채널 확산, 점포 효율화 추진 등에 따른것이다. 따라서 코로나가 진정된다고 해서 추세가 바뀔 상황은 아니다.

 자연스레 고객들의 불편이 가중되는 것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고령층이나 디지털 취약계층, 농ㆍ어촌과 같은 비대면 금융에 익숙하지 않은 금융 취약 계층의 금융 접근성은 더욱 떨어질 예정이다.

실제 수도권을 조금만 나가도 은행 점포를 찾아보기가 힘들다.

수도권 외곽이나 시골에 있는 은행을 방문하려면 꽤 많은 시간을 소비해야한다. 은행들의 점포 축소로 은행이 아예 없는 동네도 있다. 다리가 불편한 고령층이나 장애인들, 운전 면허 및 자가용이 없는 취약 계층은 금융 서비스에 접근할 권리조차 잃어버리게 됐다.

문제는 이러한 금융 소외 현상을 방치할 경우 일부 이용자들이 금융 서비스에서 탈락해 사회적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은행은 키오스크나 해외에서 도입한 혁신점포, 공동점포 등 다양한 해결책을 내놓으려는 시도 하고 있지만 점포 감축에 따른 불편을 해소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더구나 해결책들은 아직 도입 초기 단계로 시범운영적 성격에 불과해 금융 정보 격차를 줄이는데 효과적일지도, 전국적으로 확대 시행할지도 미지수이다.

은행들은 21년도 역대급 실적을 올려놓고도 비용만을 고려해 점포를 축소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면 인터넷뱅킹과 다를 점이 전혀 없다. 은행권의 차별성과 전문성을 강화하지 않는다면 금융 시장에서의 입지는 점점 더 좁아질 수 밖에 없다.고령층은 ‘모바일뱅킹’이란 개념조차 모르는 이가대다수다. 아무리 디지털로의 전환을 피할 수 없는 시대라지만, IT 기술에 익숙하지 않은 금융 취약 계층을 위해 노인 전용 창구나 전용 안내 전화를 확대하는 등의 위한 정책이나 혜택을 제공하기 위한 금융당국과 은행권의 세심한 배려가 필요하다.

저작권자 © 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