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중구 명동거리 한 상가에 임대를 알리는 안내문이 붙어 있다.(사진=뉴시스)
서울 중구 명동거리 한 상가.(사진=뉴시스)

[뉴시안=김지형 기자] 지난해 전체사업자에서 음식업 사업자 비중이 10% 밑으로 떨어지며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무엇보다 편의점 및 대형마트 시장 확대, 원재료값 인상, 실질임금 하락, 경기회복 지연, 최저임금 인상, 1인가구 증가, 혼밥ㆍ혼술 문화 확산 등이 음식점업 위축 요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1998년 IMF 구제금융 기간 구조조정 대상이 된 중ㆍ장년층 베이비붐세대가 당시 생계를 위해 외식업종에 뛰어들었다. 이제 은퇴 시기가 된 점, 업계 내 출혈경쟁ㆍ배달서비스 확대ㆍ스마트폰 등 온라인 광고 등이 소자본 창업자들에게 진입장벽이 되고 있다. 수도권과 지방 등 인기 상권의 무리한 임대료 인상도 장사를 접는 주 요인이 되고 있다.

10일 국세청의 사업자 현황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음식업 사업자는 72만 9724명으로 전달에 비해 3718명(0.51%) 줄었다.

전체 사업자는 같은 기간 731만4176명으로 전달에 비해 5649명 감소했다.

전체 사업자 감소분의 3분의 2가 음식업에서 나온 것이라고 국세청은 지적했다. 음식업 사업자가 다른 업종에 비해 큰 폭으로 줄면서 음식업 사업자 수가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9.98%를 기록, 사상 처음으로 10% 밑으로 떨어졌다.

음식업 사업자는 올해 1월 1555명 소폭 증가했지만 전체 사업자 증가 폭(4만 5691명)의 3% 수준에 그치면서 비중은 9.94%로 떨어졌고 2월에는 9.91%까지 낮아졌다.

지난해 12월 음식업 사업자 수가 큰 폭으로 줄어든 데에는 최저임금 인상이 주된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올해 1월 최저임금 인상을 앞두고 높은 상승률(16.4%)에 부담을 느낀 영세 사업자들이 서둘러 사업을 접었거나 창업을 포기했다는 것이다.

실제로 지난해 12월 음식업 사업자의 빠른 감소세는 이전 같은 시기와 비교해도 확연하게 두드러진다.

최저임금 인상이 음식업 등 서민업종에 미친 영향은 지난해 12월 고용시장에서도 뚜렷하게 감지됐다.

지난해 12월 숙박ㆍ음식업 취업자는 1년 전보다 5만8000명 감소하면서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13년 이후 가장 큰폭으로 줄어들었다.

음식업 사업자 수는 전반적으로 늘어나는 추세를 이어가고 있지만 1인가구 증가, 혼술ㆍ혼밥 문화 확대 등 구조적인 요인으로 전체 사업자보다 증가 폭은 점차 둔화되는 추세다.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15년 8월 전체 사업자에서 음식점 사업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10.61%였지만 매달 0.02~0.03%포인트(p)씩 하락하고 있다.

음식점 사업자 비중 하락 폭은 지난해 12월 0.043%p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한 데 이어 올해 1월과 2월에도 비슷한 수준(0.041%p~0.032%p)을 이어갔다.

한편,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1~11월까지 음식점 및 주점업 생상은 전년 같은 기간보다 3.1% 급감했다. 이는 2000년 집계가 시작된 이후 최대 감소폭이다.
  

저작권자 © 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