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직원들이 경기도 파주산업단지의 상용망에 구축된 5G 단독모드(SA) 네트워크를 시험하고 있다. (사진=KT)
KT 직원들이 경기도 파주산업단지의 상용망에 구축된 5G 단독모드(SA) 네트워크를 시험하고 있다. (사진=KT)

[뉴시안=조현선 기자]전국의 농어촌 거주자들이 5G(5세대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3년을 더 기다려야 할 전망이다. 5G 상용화 후 2년이 흘렀음에도 턱없이 부족한 전국 커버리지 탓이다. 

15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농어촌 5G 공동이용 계획'을 통해 올 하반기 중반까지 읍면 등 농어촌 지역 망 구축을 시작해 연내 시범 상용하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오는 2024년 상반기까지 단계적으로 상용화를 완료하는 것이 목표다.

정부와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3사는 이날 전 국민의 5G 서비스 접근성 제고 및 도-농간 5G 서비스 격차 해소를 위해 농어촌 지역 망 공동이용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대상 지역은 인구 밀도, 데이터 트래픽 등을 고려해 131개 시·군에 소재한 읍면을 대상으로 정했다. 5G 공동이용 서비스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다. 해당 지역에서는 이통 3사 5G 이용자뿐 아니라, 해외 입국자나 알뜰폰(MVNO) 가입자에도 차별 없이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전국 5G 이용자들의 품질 불만은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최근 무선국이 집중된 수도권에서도 5G 품질 불만이 지속되는 가운데, 농어촌 지역의 거주민들은 5G 서비스 이용을 위해 3년을 더 기다려야 하는 셈이다. 

현재 SK텔레콤과 KT, 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3사는 정부와 협력을 통해 전국 3.5GHz 5G망 구축에 나섰지만 커버리지 구축은 속도가 나지 않는 추세다. 지난해 말 기준 이통3사의 5G 기지국 수는 ▲SKT 4만9637국 ▲KT 5만1662국 ▲LG유플러스 6만4951국으로 총 16만6250국이다. 한편 LTE의 전국 기지국 수는 48만9729국으로 약 33%에 불과하다.

이마저도 수도권 집중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서울시(3만6189국)가 21%로 가장 많은 무선국을 가지고 있고, 경기도(3만6677국), 부산광역시(1만3934국), 인천광역시(9190국) 등으로 많았다. 이들을 제외한 지자체에 구축된 기지국은 전무하다시피 했다. 사실상 5G 서비스 이용이 아직은 불가능하다는 의미다.

이통3사는 5G 커버리지 확대를 위해 3.5㎓ 기지국 구축을 우선으로 진행하고 있다. 5G 특성상 도달거리가 짧고 직진성이 강해 더욱더 촘촘한 기지국을 구축해야 커버리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기 때문이다. 5G 기지국 수는 내년 말께야 현재 LTE 기지국과 비슷한 수준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정부는 지난 2월 기준 이동통신3사가 5G 무선국을 당초 계획보다 약 3.1배 가까이 빠른 속도로 구축중이라고 설명했다. 또 지난 2018년 5월 5G 주파수 할당 공고를 통해 부과한 망 구축 의무를 2022년께 이행 점검하겠다는 방침도 다시 강조했다.

반면 28㎓ 고주파 대역 상용화는 여전히 과제로 남아있다. 이동통신3사는 정부에 2021년까지 약 1만5000대 이상의 28㎓ 대역 기지국을 구축하겠다고 약속했지만 현실적으로는 어렵다는 분석이 나온다. 초고주파 대역에 대해서는 올해 B2B 시장을 중심으로 상용화를 위한 시동을 걸겠다는 목표다. 

저작권자 © 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