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별 소비자물가 상승률. (사진=통계청 제공)
월별 소비자물가 상승률. (사진=통계청 제공)

[뉴시안= 김나해 기자]치솟는 물가와 이자 부담에 서민들의 실질소득이 날이 갈수록 줄고 있다.

9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지난 2월 '300인 미만' 사업장의 월 평균 실질임금이 350만9000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의 388만9000원에 비해 9.8% 줄어든 수치다. 실질임금 하락은 가파른 물가 상승에 따른 여파로 풀이된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1년 2월 기준 소비자물가지수는 101.58이었지만 22년도 2월 기준 소비자물가지수는 105.30을 기록했다.

실질임금은 물가 상승을 고려한 돈의 실질적인 가치다. 실질임금이 줄어들면 그만큼 구매력 상실로 이어지며 경기가 위축된다.

국제적 공급망 차질,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한 국제 에너지 및 곡물 가격 급등, 미 연준의 발빠른 긴축 등의 영향으로 4월 국내 소비자물가지수는 4.8% 오르며 2008년 10월 이후 13년 6개월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외에도 그 동안 미뤄 둔 전기·가스·수도의 가격 인상과 거리두기 해제로 수요가 많아진 서비스 물가 상승 역시 소비자물가 상승을 견인할 요인으로 작용해 물가 상승률이 곧 5%대에 진입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국내 에너지 물가는 4월 한 달동안에만 6.8% 상승했지만 해당 상승분이 아직 국제 에너지 가격 을 온전히 담아내지 못해 에너지 물가가 추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외식 물가 역시 3월에 이어 4월에도 전년 동월보다 6.6%나 상승했음에도 불구하고 나머지 개인 서비스 물가와 함께 계속해서 상승 흐름을 보이고 있다.

보통 물가가 오르면 기준금리를 인상시켜 물가를 안정시킨다. 하지만 현재 금리 인상에 비해 천정부지로 치솟는 대출 금리로 인한 이자 부담 역시 실질임금을 조이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3월 예금 은행의 가계 대출금리(가중 평균)는 3.98%로, 2014년 5월(4.02%) 이후 7년10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하지만 문제는 외국인 자본 유출을 막기 위해서라도 미 연준이 ‘빅스텝’을 밟아나갈 동안 한은이 더 큰 스텝을 밟아나가야 한다는 점이다.

금융권에서는 오는 26일 열리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0.25%p 올려 1.75%로 상향 조정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심지어 금융 시장은 올해 말 1.75~2.00% 수준으로 내다봤던 기준 금리 전망치를 2.25~2.50%로 대폭 높여 잡고 있다.

조용구 신영증권 연구원은 "당초 연말 기준금리 2%를 예상했으나 최근 인상 전망이 더욱 강화되면서 2.25%로 높였다"며 "지난 4월과 5월에 이어 7월 금통위까지 3연속으로 기준금리가 오를 가능성도 살펴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