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SK그룹 회장이 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 오디토리움에서 열린 'SK AI 서밋 2025' 키노트 세션에서 'AI Now & Next'를 주제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공동취재]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 오디토리움에서 열린 'SK AI 서밋 2025' 키노트 세션에서 'AI Now & Next'를 주제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공동취재]

[뉴시안= 박은정 기자]“우리는 고객이나 파트너와 경쟁하지 않습니다. 그것이 SK의 원칙입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3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서밋 2025’ 개막식에서 밝힌 말이다.

그는 “AI 산업은 지금 ‘효율의 전쟁’으로 전환되고 있다”며 “SK는 혼자가 아닌 파트너십 기반의 AI 생태계를 만들어가겠다”고 선언했다.

최 회장은 “AI 산업은 아직 초기 단계지만, 인퍼런스·B2B·에이전트·소버린(국가 단위 AI)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문제는 공급이 이를 따라가지 못한다는 점”이라며 “AI 컴퓨팅 파워 부족으로 인한 글로벌 미스매치가 불가피하다”고 진단했다.

그는 “공장을 어디에 짓고 얼마나 투자할지조차 정치적 변수로 얽혀 있다”며 “SK는 용인 클러스터를 중심으로 미래 AI 수요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고 밝혔다.

최 회장은 “용인 클러스터에는 대형 팹 4개가 들어가는데, 한 개 팹이 청주 M15X 팹 6개 규모”라며 “완공되면 청주 M15X 팹 24개가 동시에 가동되는 셈”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메모리 솔루션의 효율성을 극대화해 공급 부족 상황을 최소화하겠다”며 “AI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가장 효율적인 솔루션을 찾는 것이 우리의 미션”이라고 강조했다.

최 회장은 “AI의 속도 경쟁은 이미 한계에 다다랐다”면서 “이제는 AI가 스스로의 문제를 해결하는, 즉 ‘AI로 AI 문제를 푸는 시대’로 가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메모리 반도체 생산, 데이터센터 운영 등 SK의 핵심 역량 전반에 AI 기술을 접목해 효율과 스피드를 동시에 높이겠다는 전략을 제시했다.

최 회장은 “기업뿐 아니라 각국 정부까지 포함한 글로벌 파트너들과 AI 산업의 새로운 기회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올해로 3회째를 맞은 ‘SK AI 서밋 2025’는 ‘AI Now & Next(현재와 다음)’를 주제로 AI의 현재를 진단하고 미래 전략을 공유하기 위해 열렸다.

현장에는 최태원 회장을 비롯해 벤 만 앤트로픽 공동창업자·팀 코스타 엔비디아 반도체엔지니어링총괄·정신아 카카오 대표·정재헌 SK텔레콤 사장·곽노정 SK하이닉스 사장 등 국내외 AI 리더들이 참석해 AI 인프라·반도체·데이터 거버넌스 등 다양한 주제를 논의했다.

저작권자 © 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