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시안= 이태영 기자]서울 도심 남측의 핵심 축인 용산 일대 개발계획이 30년 만에 대대적으로 손질된다.
서울시는 13일 열린 도시·건축공동위원회에서 '용산 지구단위계획구역 및 계획 변경(안)’을 수정가결하고, 기존 단일 구역으로 운영되던 용산 일대를 6개 구역으로 분할한다고 밝혔다.
1995년 지정된 용산 지구단위계획구역은 약 330만~350만㎡ 규모로, 서울 시가지 중 최대였다. 하지만 지나치게 광범위한 탓에 각 지역 특성을 반영하기 어려워 정비에 긴 시간이 소요돼 왔다.
이에 따라 서울시는 용산 일대를 △서울역(71만㎡) △남영역(36만㎡) △삼각지역(73만㎡) △한강로 동측(40만㎡) △용산역(105만㎡) △용산전자상가(12만㎡) 등 6개 구역으로 나눠 관리체계를 세분화한다.
서울역 일대는 ‘국제관문형 교통·업무 중심지’로 개조하고 남산 보행·녹지축을 강화한다.
남영역 일대는 도심~용산을 잇는 한강대로 업무축으로 육성한다. 삼각지역 일대는 용산공원과 인접한 중저층 주거지 특성을 살려 정비를 유도한다. 용산역 일대는 국제업무 기능 중심의 ‘용산 신중심(Core Yongsan)’으로 조성된다. 한강로 동측은 주거·업무·녹지가 조화를 이루는 복합공간으로 개발된다. 용산전자상가는 AI·ICT 등 미래 신산업 혁신거점으로 전환된다.
서울역에서 한강대교로 이어지는 한강대로변은 기존 100m에서 최고 120m(30층 내외)까지 건축이 가능해진다.
서울시는 “사업계획과 지역 특성에 따라 추가 완화도 검토할 것”이라며, 민간의 창의적 개발을 유도한다는 입장이다.
그동안 민원 요인이던 공동개발 지정계획은 전면 해제돼, 토지주 개별사업 추진 여건도 크게 개선될 전망이다.
용산 전체의 특별계획구역은 59개에서 68개로 늘었다.
특히 용산전자상가 일대에 9개 신규 특별계획구역이 지정돼, 총 11개로 확대된다.
이 중 8곳은 이미 세부개발계획 수립 등 사업이 진행 중이며, 도심형 창업·R&D·주거가 결합된 ‘산업-생활 복합지구’로 변모할 예정이다.
반면, 용산우체국 주변 등 2개 구역은 주민의사에 따라 해제한다. 이 일대는 ‘용리단길’ 상권과 연계한 중·소규모 건축이 허용돼, 지역 상권 활성화를 유도할 방침이다.
조남준 서울시 도시공간본부장은 “이번 결정은 용산을 단순한 철도 배후지에서 서울의 미래 신도심이자 국가상징거점으로 격상시키는 계기”라며 “구역 세분화로 행정 효율성을 높이고, 민간의 창의적 개발이 신속히 이뤄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