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시안= 이태영 기자]한국이 2028년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의장국을 맡게 됐다. 이에 따라 2028년 G20 정상회의에서는 한국이 의장국 역할을 수행하며, 의장국 정상인 이재명 대통령이 회의를 주재하게 된다.

이재명 대통령은 23일(현지시간)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에서 열린 G20 정상회의 제3세션에서 이 같은 사실을 공식적으로 알리며 “막중한 책임감을 갖고 의장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겠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대한민국은 국제사회가 위기 때마다 방향을 잡을 수 있도록 돕는 G20을 함께 설계한 나라”라며 “G20 출범 20주년이 되는 2028년에 다시 의장국을 맡게 된 것을 뜻깊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G20이 국제경제협력을 위한 최상위 글로벌 포럼으로서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올해 의장국인 남아프리카공화국을 향해 “훌륭한 리더십을 보여준 시릴 라마포사 대통령께 존경과 감사를 표한다”고 덧붙였다.

한국의 2028년 의장국 수임은 G20 정상들이 전날 채택한 ‘G20 남아프리카공화국 정상선언’을 통해 공식화됐다. 선언문에는 “2026년 미국, 2027년 영국, 2028년 대한민국에서 다시 만나기로 약속한다”는 문구가 명시됐다.

이재명 대통령이 22일(현지 시간)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 엑스포 센터에서 열린 G20 정상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G20 조직위원회/뉴시스]
이재명 대통령이 22일(현지 시간)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 엑스포 센터에서 열린 G20 정상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G20 조직위원회/뉴시스]

오현주 국가안보실 3차장은 이날 현지 브리핑에서 “이번 의장직 수임은 대한민국 국격을 한 단계 높인 성과”라며 “이 대통령은 임기 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APEC 정상회의에 이어 G20 정상회의까지 의장직을 수행하게 됐다”고 평가했다. 이어 “G20 출범 20주년이라는 상징적 해에 한국이 글로벌 현안 대응에서 선도적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G20 제3세션은 ‘모두를 위한 공정한 미래’를 주제로 열렸으며, 핵심광물, 양질의 일자리, 인공지능(AI) 등 주요 글로벌 의제가 논의됐다.

이 대통령은 “기술의 발전은 인류에게 기회를 주는 동시에 큰 도전이 된다”며 “AI 혁신과 핵심광물 공급망 회복력 강화가 포용적 기회 창출로 이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AI 발전의 혜택은 모든 국가와 국민에게 균등하게 돌아가야 한다”며 “한국은 ‘글로벌 AI 기본사회’ 실현을 위해 국제사회와 긴밀히 협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APEC 의장국으로서 추진 중인 ‘APEC AI 이니셔티브’가 아태지역을 넘어 전 세계로 확산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국의 AI 디지털배움터 구축, 청년 맞춤형 AI·SW 교육 확대 등 국내 사례도 소개하며 “아프리카 지역의 여성·청년 디지털 역량 강화도 적극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핵심광물 공급망 문제와 관련해 이 대통령은 “광물 보유국과 수요국이 혜택을 공유하는 안정적이고 호혜적인 공급망 구축이 필요하다”며 “‘G20 핵심광물 프레임워크’ 논의가 진행된 것을 의미 있게 평가한다”고 밝혔다. 이어 “‘핵심광물 안보 파트너십’ 의장국으로서 상호 이익에 기반한 협력사업을 확대해 왔으며, ‘한-아프리카 핵심광물 대화’를 통해 신뢰 기반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은 2028년 G20 의장국 수임을 계기로 글로벌 경제 협력과 공급망 안정화, AI 거버넌스 등 주요 국제 의제에서 보다 주도적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전망된다.

저작권자 © 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