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모란 국립암센터 교수가 9일 오후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사회적 거리두기 체계 개편을 위한 2차 공개토론회에 참석해 자리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기모란 국립암센터 교수가 9일 오후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사회적 거리두기 체계 개편을 위한 2차 공개토론회에 참석해 자리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뉴시안=소종섭 편집위원]지난 16일 개각 때 청와대는 방역기획관을 새로 임명했다. 전문가들이 주장해오던 바이기는 했으나 예정된 것은 아니었기에 뜻밖으로 받아들여졌다. 기모란 국립암센터 교수가 그 자리를 맡았다. 기 교수는 대한예방의학회 코로나19대책위원장도 맡고 있었다. 이번 인사는 청와대의 컨트롤타워 기능이란 측면에서는 바람직하다. 그러나 동시에 청와대는 우려감도 안게 됐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방역기획관 신설과 관련해 “중요해진 방역을 강화하겠다는 것으로 받아들인다”는 입장을 밝혔다. 코로나19와 관련해 기존 청와대 사회정책실에서 하던 역할이 점점 늘어나면서 전문적인 대응을 위해 방역기획관을 신설한 것으로 본다는 것이다. 그동안 중대본과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사이 역할 등과 관련해 논란이 있었다는 점에서 이를 통괄 조정할 청와대의 역할이 주목돼 왔다. 4차 유행이 시작되고 백신 수급 불안도 커진 상황이기에 방역기획관 신설에 대해서는 큰 이견이 없는 흐름이다.

문제는 ‘왜 기모란인가’이다. 적절한 인물인가에 논란이 있다. 야당에서는 ‘보은 인사’라고 비판하고 있다. 그 동안 기 기획관이 “백신 도입은 급하지 않다”고 하는 등 정부 입장을 옹호해왔고 기 기획관의 남편이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지난 총선에 출마했던 것을 근거로 든다. “정은경 질병청장의 힘을 빼려는 것 아니냐”는 말도 나왔다. 배준영 국민의힘 대변인은 18일 논평에서 “청와대는 정치방역 여론을 주도한 기 교수를 방역기획관에 기용했다. 왜 방역을 교란했던 인사를 오히려 방역의 핵심에 세우나”고 비판했다.

기 기획관과 관련해 제기되는 비판은 청와대로서는 부담스런 대목이다. 지금까지는 중대본과 방대본 등이 중심이 돼 코로나19에 대응해 왔다. 그러나 청와대에 방역기획관이 생기면서 주목도가 높아졌다. 그만큼 책임감도 커졌다. 청와대와 중대본 등과의 협의 과정이 원활치 못하게 진행되거나 향후 코로나19 상황과 관련해 문제가 생기게 되면 청와대가 직격탄을 맞을 가능성이 커졌다. 특히 최근 백신 관련 이슈가 점점 커져가는 흐름이다. 백신 수급과 관련해 국민의 불안감이 높아가고 있다. 안전성에 대한 불신도 과거보다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 이 문제에 청와대가 해법을 제시하지 못할 경우 방역기획관 신설로 높아진 기대감은 실망감으로 바뀔 수 있다. 

저작권자 © 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