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채가 1968조 원으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지만, 6·27 대책 영향으로 증가폭은 2분기 대비 크게 줄어들며 가계대출 중심의 둔화 흐름이 확인됐다. [사진=송서영 기자] 
가계부채가 1968조 원으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지만, 6·27 대책 영향으로 증가폭은 2분기 대비 크게 줄어들며 가계대출 중심의 둔화 흐름이 확인됐다. [사진=송서영 기자] 

[뉴시안= 송서영 기자]가계부채가 다시 한 번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다. 18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5년 3분기 가계신용(잠정)’에 따르면 가계신용 잔액은 1968조 3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다만 증가 규모는 2분기 25조 1000억 원 대비 14조 9000억 원으로 크게 줄며, 정부의 6·27 가계부채 관리대책의 영향이 서서히 나타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가계신용 전체 증가폭이 둔화된 가운데 ‘가계대출’ 감소폭이 두드러졌다. 3분기 가계대출은 12조 원 증가했는데, 이는 전분기 23조 6000억 원의 절반 수준이다.

주택담보대출 역시 증가하긴 했지만 2분기보다 증가폭이 줄었고, 기타대출은 전분기 19조 3000억원에서 10조 1000억원으로 감소 전환하며 정책 효과가 일부 반영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주택담보대출은 11조 6000억 원 늘어나며 여전히 가계대출 증가의 대부분을 차지했지만 상승폭은 이전보다 완만해졌다. 한편 판매신용(카드·할부)은 3분기 3조 원 증가하며 2분기보다 증가 폭이 두 배로 확대됐다.

저작권자 © 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