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시안= 이태영 기자]# 최근 청년층의 수도권 집중과 지방 소멸 현상이 심화되면서, 대한민국의 지역 격차 문제가 사회적 화두로 떠올랐다. 더욱이 MZ세대의 지역 이탈은 인구 감소와 더불어 지역의 근간을 무너뜨릴 정도로 아주 심각한 상태다. 뉴시안은 ①MZ세대의 지방 이탈이 지역 대학, 일자리, 생활 인프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②수도권 과밀과 청년 주거·일자리 경쟁 문제, 나아가 ③해외 도시의 균형발전 정책 사례까지 청년과 지역, 도시와 정책의 현실을 차근차근 진단하고 해법을 모색해 본다. /편집자주
“출퇴근만 2시간이에요. 그래도 여기서 벗어날 수 없죠.”
서울 마포구에서 원룸에 거주하는 이(27) 모 씨는 하루 12시간 이상을 일과 통근으로 보내면서도, 수도권을 벗어나지 못한다. 지방에서 온 그는 “일자리를 구하려면 서울·경기 밖으로는 갈 수 없다”고 말했다.
국무조정실은 지난 3월 11일 발표한 ‘2024년 청년의 삶 실태조사’ 에 따르면, 청년 가구의 월평균 생활비가 213만원에 이른다. 서울·경기권의 경우 청년이 몰리면서 수도권 청년 1인 가구 월평균 주거비는 이보다 더 높다. 임대료 부담과 단기계약 일자리 속에서 삶의 질은 낮아지고 있다.
# 수도권 과밀, 삶의 질 악화
한국청년정책연구원 조사에 따르면 서울·경기 지역 청년의 62%가 주거비 부담이 높아 결혼·출산을 미룬다고 응답했다.
특히 월세 100만 원 이상 원룸이 전체 1인 가구의 30%를 차지하며, 고시원·오피스텔·공유주택으로 분산된 청년층은 장기 정착이 어렵다.
서울 강남구의 한 청년 스타트업 근무자는 “원룸 방값에 생활비까지 매달 150만 원 가까이 나간다”며 “부모 도움 없이는 독립생활이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주거난과 함께 일자리 경쟁도 치열하다. 공공기관·대기업·스타트업 등 청년을 겨냥한 일자리 경쟁률은 평균 200~300대1에 달한다. 계약직, 인턴십, 단기직이 대부분이며, 안정적인 정규직 일자리 비율은 15%에 불과하다.
# 기업·지자체도 대응책 마련 분주
정부와 지자체는 수도권 청년의 부담 완화를 위해 청년 임대주택, 전세금 지원, 주거비 보조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서울시는 2025년 청년 공공임대주택 1만 2000호를 공급하고, 경기 일부 지자체는 전세보증금 지원금을 확대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단기적 지원으로는 한계가 크다고 지적한다.
도시계획 전문가인 김혜란 건축사는 “주거 공급을 늘리는 것도 중요하지만, 수도권 과밀 구조 자체를 바꾸지 않으면 청년층의 생활환경은 계속 악화된다”고 말했다.
# 수도권 집중의 사회적 비용
청년이 몰리면서 수도권은 교통·교육·문화 등 사회기반시설 과밀 문제를 겪고 있다.
△출퇴근 시간 증가 → 평균 97분(편도), △공공시설·문화시설 혼잡 → 청년 이용률 감소, △주거비 상승 → 청년 소비력 저하 등 이런 구조적 문제는 수도권 집중의 부작용으로, 장기적으로 사회적 불평등과 경제적 부담 증가로 이어진다.
전문가들은 “지방 청년 유출과 수도권 과밀은 동전의 양면”이라며 “청년이 지역에 남도록 산업·문화·주거 기반을 동시에 강화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 청년 관점에서 바라본 ‘살고 싶은 수도권’
청년 당사자들은 안정적 일자리와 적정 주거비 외에도, 생활 인프라, 문화·여가 공간, 커뮤니티 활동 등을 중요한 요소로 꼽는다.
서울 성수동에서 프리랜서로 일하는 박(28) 모 씨는 “직장이 있어도, 혼자 생활하면서 문화와 휴식까지 챙길 수 있는 환경이 아니면 오래 살기 어렵다”고 말했다.
정리하면, 수도권 집중 문제는 단순한 ‘기회 집중’이 아니라, 청년의 삶의 질·경제적 부담·사회적 관계까지 포함한 구조적 문제인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