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에 나갈때마다 어색한 것이 한둘이 아니다. 클럽을 잡는 일도 그 중 하나다. 그립을 하고 어드레스에 들어가면 이 그립이 맞나 하는 느낌이 든다는 것이다. 이리 잡아보고, 저리 잡아보아도 어딘지 불편하기 짝이 없다.
사실 클럽을 잡는 그립(grip)은 골프의 시작이자 끝이라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래서 '좋은 골프는 올바른 그립에서 나온다'고 했다. 그립만 잘 잡아도 골프의 절반은 성공한 셈이다. 프로골퍼들이 클럽 없이 수시로 빈손으로 그립형태의 모양을 반복해 만드는 것도 아마 이 때문이 아닐까 싶다.
골프그립은 클럽과 몸을 이어주는 유일한 연결점이다. 왼손은 스윙을 할때 클럽을 콘트롤하는 역할을 하고, 오른손은 몸에서 생성된 힘을 클럽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왼손 힘도 필요하다.
골프그립은 그립을 잡는 방법보다 잡는 강도를 나타내는 압력(pressure)이 더 중요하다.
그립을 너무 강하게 잡으면 손목은 물론 상체 근육을 긴장시켜 너무 힘이 들어가게 된다. 이때문에 손목의 꺾기동작인 스냅(snap)을 활용할 수 없다. 이는 클럽헤드 무게를 느끼기 쉽지 않을뿐 만 아니라 상체 근육을 이용한 '엎어치기(over the top)'가 되면서 거리와 방향성을 모두 잃어버리기 쉽다.
특히, 드라이버나 우드, 아이언 등으로 거리를 내기 위한 파워스윙을 할 때는 손목을 비교적 원활하게 쓸 수 있게 오버래핑 그립으로 가볍게 잡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립을 견고하게 잡으려면 왼손등은 목표를 향하게 하고, 손바닥 안쪽의 아랫부분에 솟아오른 근육아래에 놓고, 샤프트는 집게손가락 첫 마디를 가르지르도록 놓아준다. 집게 손가락을 샤프트쪽으로 구부려 보라. 이런 상태만으로 클럽을 들어 올릴 수 있으면 OK. 그런 뒤 왼손으로 모두 쥐어본다. 엄지 손가락은 맨 나중에 쥔다.
쇼트게임인 어프로치 샷이나 퍼팅을 할 때는 정확하게 볼을 스위트 스포트에 맞추는 것이 중요한 만큼 스트로크 시에 왼손목이 꺾어지지 않도록 손바닥과 손가락 그립을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이때도 그립은 가볍게 잡아야 한다. 클럽이 손에서 빠져나가지 않을 정도로 단단하게 그립을 하라고 하지만, 깃털처럼 가볍게 잡으라는 것도 이 때문에 나온 말이다.
글/장일환 미국프로골프협회(PGA) 회원, 미국PGCC졸업, 장일환 골프아카데미 원장. 저서: '바디스윙이 골프스윙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