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정상회담을 앞둔 24일 경기 파주 문산 한 부동산에서 토지 매물 시세표를 보고 있는 고객의 모습(사진=뉴시스)
남북정상회담을 앞둔 4월 24일 경기도 파주시의 한 부동산에서 토지 매물 시세표를 보고 있는 행인의 모습(사진=뉴시스)

[뉴시안=김지형 기자] 4월 27일 남북정상회담에서  '판문점 선언'이 발표되면서 군사분계선(MDL) 접경지역 부동산 지역에 대한 개발호재 기대감이 다시 싹뜨고 있다.

판문점선언이 일체의 적대행위 금지ㆍ비무장지대(DMZ) 평화지대화ㆍ단계적 군축을 통한 군사적 긴장완화 방안들뿐만 아니라 남북교류협력ㆍ남북경제협력 재개를 핵심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남북 간 도로ㆍ철도를 포함한 인프라 개발에 따른 접경지역 그린벨트 해제와 같은 규제완화, 천문학적인 정부의 보상안 추진 계획이 무르익고 있다.

이로 인해 파주ㆍ연천ㆍ양주 등 경기 북부 부동산에 대한 실거래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면서 땅주인들이 호가를 높이거나 매물을 거둬들이는 사례까지 발생하고 있다.

접경지역 도로ㆍ철도 건설 기대감으로 땅주인들이 계약을 보류하거나, 매수 희망자들은 매물을 찾기 위해 현지 부동산업체에 문의하는 전화가 연일 쇄도하고 있다.

경기도 파주시 한 부동산업자는 "남북정상회담 이전 내놨던 매물들을 땅주인들이 보류하는 매물들이 등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경기 북부는 그동안 군사시설보호구역ㆍ그린벨트ㆍ상수원보호 등 중첩규제에 묶여 개발이 금지됐던 지역이다. 경기북부 수도권 택지개발 수혜 지역과 비교해 30~50% 정도 낮은 가격이 형성된 곳이다. "이번 기회를 틈타 거래가를 상향 조정하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는 것이 이 부동산 업자의 설명이다.

그는 "그동안 수도권 입지를 호재로 개발됐던 남양주ㆍ경기동부ㆍ경기남부 일대 개발 호재 붐이 경기북구권에서 좀더 깊숙히 위치한 접경지역 일대로 확대될 수 있을 것 같다"고 전망했다.

다만 서울과 출ㆍ퇴근 거리가 여전히 불편한 상황이어서 실거주 수요보다는 투자 목적의 매매가 기승을 부릴 가능성이 크다. 택지개발 인근 상가투자나 토지를 매입해 전원주택, 빌라를 짓는 수요가 늘 것 같다는 설명이다.

정상회담 이전부터 남북관계 개선 기대감으로 호가를 높이고 매도를 철회하는 매물이 줄줄이 등장했다. 파주ㆍ연천 지역 일부 개발 예정지의 호가는 올 들어 3.3㎡당 십만원 대에서 30만원 안팎으로 2~3배 가량 급등하기도 했다.

파주 문산읍 한 부동산업자는 "문산 지역 인근땅들이 또 한번 남북경협 계획으로 대대적으로 오를 것 같은 분위기"라면서 "땅을 사려는 매수자들의 거래 수요가 늘면서 주말 수십통의 문의 전화를 받았다"고 말했다.

제 2 개성공단 건설, 판문점 일대 개발, 남북 철도ㆍ도로 등 인프라 개발 계획에 따른 직ㆍ간접적인 개발 효과가 파주뿐만 아니라 연천, 양주, 동두천 일대까지 파급될 것이란 전망도 있다.

연천군의 한 부동산업자는 "남북정상회담 직전까지 별 반응이 없었지만 최근 땅주인들로부터 가격을 얼마나 높여 받을 수 있는지 문의하는 전화를 10여통 받았다"고 말했다. 그는 "파주 북부가 개발된다면 연천 등 다른 접경지역도 반사이익을 얻을 것"이라 분석했다.

파주 운정신도시의 경우 GTX(수도권광역급행철도)가 2023년 개통 예정으로 서울역까지 10대로 출퇴근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양주신도시 등 경기도 2기 신도시를 연결하는 제 2외곽 순환고속도로는 2022년 개통 예정이다. 작년 7월에는 지하철 7호선 연장선(옥정역)이 예비타탕성 조사를 통과한 후 12월엔 연장이 확정되기도 했다.

양주신도시 한 부동산업자는 "양주시 옥정지구의 경우 김포나 파주보다 30% 가량 가격이 낮다"면서 "교통망등의 개선으로 추가 신규 인구유입 효과가 생긴다면 자연스럽게 매매가 상승이 있지 않을까 전망된다"고 말했다.

양주시 동북부 지역 개발이 남북관계 개선 등의 호재가 겹치면서 양주시 남면 구암리 일대, 효촌리까지 임야 등 부동산 상승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경기북부권 일대는 각종 규제를 악용한 기획부동산이 활개를 쳤던 지역이다.  남북개선 개선을 호재가 또 다시 기획부동산업자 혹은 일명 '떳다방' 조직의 불법사기 온상이 될 가능성이 있다. 정부의 남북관계 개선ㆍ부동산개발 정책의 취지가 무색해질까 우려되는 시점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